지난 96년 이후 국내 정보통신 분야의 기술개발이 기초기술보다는 산업화에 필요한 단기 소형과제를 중심으로 이뤄져 핵심기술의 축적이 미흡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4일 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의 주관으로 서울 양재동 교육문화회관에서 열린 `정보통신 산업발전을 위한 토론회’에서 ETRI의 한상영 박사(기술정책연구팀)는 `정보통신 기술개발 정책의 성과와 평가’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지적했다.
한 박사는 정보통신 분야의 핵심기술을 축적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연구기획 및 관리, 평가체계의 혁신과 선도 기반기술 개발사업을 도모함으로써 장기적인 시장예측과 국가적 관점에서 기술기획 및 평가를 시도하고 산·학·연으로 구성된 연구개발 주체들의 연구역량을 강화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 세계시장 진출과 기술개발에 따른 이윤 확보를 위해서는 기술개발과 표준화를 연계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토론에 나선 신인철 현대시스콤 전무도 90년대 이후 IT(정보기술) 연구개발 투자가 주로 상품화를 위한 기술개발에 치우쳤다고 지적하고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서는 ETRI 활성화, 연구개발인력의 양성, 표준화에 대한 지원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한편 한 박사는 이날 주제발표를 통해 지난 93년부터 작년까지 국내 정보통신 분야의 총 연구개발 투자는 연평균 26% 증가해 국내 전체 연구개발 투자를 주도했고 이중 정통부는 총 5조8천252억원을 투자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이같은 연구개발 투자결과 정보통신 기술관련 국제 특허출원 및 등록이 각각 1천450건, 353건에 달했고 국내 특허출원 및 등록은 6천373건, 1천971건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이로 인해 정보통신 분야의 매출은 28조원이 늘었고 수출도 13조원이 증가했다고 한 박사는 설명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