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는 ‘마흔이 되면 미혹되지 않는다(四十而不惑)’고 했다.
<논어> ‘위정(爲政)’에 실려 있는 말인데, 마흔이 되면서 세상의 유혹과 자신의 욕심에 흔들리지 않고 마음을 굳게 지킬 수 있었다는 뜻이다. 맹자도 ‘나는 마흔에 부동심을 이뤘다(我四十不動心)’고 했다. 제자인 공손추가 “제나라의 왕이 스승님을 재상으로 삼는다면 패업을 이룰 수 있을 텐데 그러면 마음이 동요되겠습니까?”라고 묻자, 맹자가 “동요되지 않는다”라고 대답하며 했던 말이다.
오늘날의 관점으로 보면 마흔은 가장 흔들리기 쉬운 때이자 급격한 변화의 시기이기도 하다.
직장생활을 하든 직장에서 독립해 자기 사업을 해도 마찬가지다. 직장에서는 승진을 위해 치열한 경쟁을 치러야 하고, 사업에서 만약 실패한다면 재기를 기약하기 어렵다. 가정적으로는 사춘기 아이들로 인해 걱정이 끊이지 않고 갱년기에 들어서면서 부부지간에도 서먹한 시기가 닥친다.
이런 때 공자와 맹자와 같이 흔들리지 않는 마음을 가지는 것은 사치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이런 때 필요한 것이 바로 고전의 지혜이다.
맹자는 제자 공손추에게 자신의 두가지 강점은 지언(知言)과 호연지기(浩然之氣)라고 말했다. 지언은 말의 이치를 알아서 시비를 가를 수 있는 능력이다. ‘편파적인 말을 들으면 한쪽이 가려진 것을 알고, 과장된 말을 들으면 그 자가 무엇에 빠져 있는지를 알며, 사악한 말에서는 도리에 벗어난 것을 알고, 핑계 대는 말을 들으면 그가 궁지에 몰렸다는 것을 안다’라고 맹자는 말했다.
공자가 <논어>의 맨 마지막 구절에서 ‘말을 알지 못하면 사람을 알지 못한다’(不知言, 無以知人也)고 말했던 바와 같이, 맹자는 말을 통해 사람을 아는 능력을 가졌던 것이다.
맹자의 또 하나의 능력인 ‘호연지기(浩然之氣)’는 맹자 스스로도 말로 설명하기가 어렵다고 했다. 실제로 공손추에게 설명한 말을 들어봐도 그 의미를 명확히 알기는 어렵다.
“그 기운은 지극히 크고 강해, 곧게 길러 해치지 않으면 하늘과 땅 사이에 가득 차게 된다. 그 기운은 의(義)와 도(道)와 함께 하는 것으로, 그렇지 않으면 기운은 곧 시들어진다. 이것은 의가 부단히 모여서 된 것이지, 의가 밖에서 엄습해 이뤄진 것이 아니다. 행하고 나서 마음에 흡족하지 않으면 역시 호연지기는 시들해지기 마련이다.”
이어서 맹자는 “호연지기를 기르기 위해 힘써야 하지만, 그것만 학수고대해서는 안 되며, 그렇다고 마음에 잊어서도 안 되며, 무리하게 조장해서도 안 된다”라고 하며 ‘발묘조장(拔苗助長)’의 고사를 예로 든다. 송나라의 농부가 벼를 빨리 키우려는 욕심에 싹을 조금씩 뽑아서 모두 말려죽이고 말았다는 고사로, 오늘날 ‘바람직하지 않은 일을 부추기다’라는 뜻의 ‘조장(助長)’의 어원이기도 하다. 여기서 호연지기는 서두르지 않고, 조급해하지도 않고, 꾸준히 바른 길, 의로운 길을 걸어감으로써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럴 때 마음의 흡족함도 얻을 수 있고, 하늘과 땅을 가득 채울 만한 큰 기운을 얻게 된다.
맹자는 전쟁과 혼란의 전국시대(戰國時代)를 지언과 호연지기의 덕목으로 스스로를 지켜냈다. 오늘날도 어쩌면 그에 못지않은 치열한 시대일지도 모른다. 혼란한 세상을 살아가는 힘, 지언과 호연지기로 얻을 수 있다.

- 조윤제《천년의 내공》 저자
- 일러스트레이션 최진영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