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에 대응할 열쇠로 스마트공장이 주목받고 있다. 스마트공장은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등 4차 산업혁명 관련 주요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미래형 공장이다. 이 공장은 생산성과 고용률을 높이면서 제품 불량률과 생산시간을 줄일 수 있어 제조업 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전략으로 평가받는다.
우리 정부도 중소 제조기업의 제조혁신을 위해 스마트공장 보급과 확산에 힘쓰고 있지만, 정작 우리나라의 스마트공장 관련 생태계는 선진국에 비해 한참 뒤처져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4차 산업혁명, 12만개 일자리 창출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에 따르면 현재 국내에 도입된 스마트공장은 전부 5003개다. 정부 지원을 받은 곳이 3494개, 대기업 지원으로 세워진 곳은 1508개다. 지난해 말 기준 스마트공장을 구축한 기업의 생산성은 평균 30% 개선된 것으로 집계됐다. 불량률은 45%, 생산원가는 15%, 생산시간은 16%씩 각각 감소했다.
스마트공장 구축 기업은 제조현장의 스마트화를 통해 안전한 작업환경을 구축하며 2014년부터 2015년까지 산업재해율도 22% 낮췄다. 위원회는 이러한 점을 토대로 청년층의 중소기업 취업 기피현상을 완화하는데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정밀도장 업체인 한국나노텍의 경우 스마트공장 구축으로 수작업 처리를 자동화하면서 청년인력 등 고용증가를 이뤄낸 바 있다. 고용노동부 조사에 따르면, 기존 경제·산업구조를 유지할 경우 2030년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은 연평균 2.5% 수준에 그칠 전망이다. 반면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할 경우 성장률은 2.9%로 올라간다. 고용부는 4차 산업혁명으로 2030년까지 12만개 일자리가 늘어날 것으로 관측했다. 증가 92만개, 감소 80만개다. 특히 정보통신서비스업,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 전기·전자·기계산업 등 4차 산업혁명 선도 산업 중심의 취업자 증가를 예상했다.

전문인력·인프라 부족은 걸림돌
문제는 당장의 성과에 만족하기에는 국내에 보급된 스마트 공장의 질적 수준이 매우 낮다는 점이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스마트공장의 수준을 △기초 △중간1 △중간2 △고도화 등 4가지로 정의한 기준에 따르면 지난해 5월 기준, 국내의 스마트 공장 중 82.3%는 기초수준에 머물러 있다. 중간1·중간2 수준은 각각 14.6%, 3.1%였고, 고도화 기업은 한곳도 없었다.
우리나라의 스마트 공장 대부분은 아직 ‘엑셀’을 활용하는 수준에서 막 벗어나 생산이력과 물류를 추적·관리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는 셈이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는 공장에서 생산되는 제품 정보를 디지털화하고 제품의 이력을 관리하는데 치우친 채 구축·운영되고 있다”며 “스마트공장을 말 그대로 ‘똑똑한 공장’으로 운영하려면 각종 생산설비와 시스템을 제어·관리해 생산공정을 고도화하는 방향으로 수준을 높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전문인력 부족 역시 스마트공장 확산 과정에서 끊임없이 문제점으로 지적돼 왔다. 제조업 종사자의 연령은 계속 증가하고 있지만, 청년은 제조업을 기피하고 있어 숙련자의 노하우가 단절될 우려가 있어서다.
실제로 지난해 중소기업중앙회(회장 박성택)가 스마트공장 도입 시 우려점을 조사한 결과 인력확보가 35.7%를 기록, 자금(83.3%), 사후관리(57.4%)에 이어 3번째를 기록했다.
해외 선진국에 비해 낮은 국내 스마트 공장 기반산업 및 국내 공급사의 기술경쟁력도 개선해야 할 과제로 꼽힌다.

대기업 참여 확대 ‘상생형 모델’ 확산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이 최근 발표한 이슈 리포트를 보면, 스마트 공장과 관련한 국내 ICT 수준은 83.4점으로 미국(100점) 유럽(98.9점) 일본(97.1점)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스마트공장 구축을 통해 한차원 높은 제조혁신을 하려면 수치보다 ‘혁신의 질’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이에 정부가 민간 참여 확대와 스마트공장 고도화에 초점을 맞춘 스마트공장 확산 전략을 내놨다.
최근 4차산업혁명위원회가 내놓은 ‘스마트 공장 확산 및 고도화 전략’에 따르면 정부는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 2만개를 보급한다는 국정과제에 맞춰 민간·지역 중심의 세부 추진 전략을 세우고 한국형 스마트공장을 보급한다. 문재인 정부는 2022년까지 2만개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을 국정과제로 삼고 있다.
한국형 스마트공장 추진 계획은 민간 참여 확대와 스마트공장 고도화에 중점을 뒀다. 세부적인 추진 과제의 정책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중소벤처기업부,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관계부처와 지방자치단체, 민간 기업의 유기적인 협업 형태를 꾸릴 계획이다.
먼저 올해 하반기부터 중소기업의 스마트공장 구축 방식을 민간·지역 중심으로 전환한다. 대기업이 먼저 중소기업과 스마트공장 협력 계획을 세우면 정부가 후원하는 상생형 모델이다. 구축 비용은 정부와 대기업, 중소기업이 각각 3대 3대 4로 나눠 부담한다. 정부와 민간의 스마트공장 구축 비중을 현재 3대 7 수준에서 5대 5까지 맞출 방침이다. 5년 내 목표인 스마트공장 2만개 중 절반인 1만개가 민간 목표로 설정됐다는 의미다.
대·중견·중소기업 간 협력체계인 ‘스마트공장 얼라이언스’도 추진한다. 선단형 해외진출과 공동 R&D, 표준화 등 공동 대응을 위해 스마트공장 기반 기술 관련기업 30~40개사를 선정할 예정이다.
지역별 지원 체계도 강화한다. 6개 국가산업단지를 확산거점으로 지정·운영하고, 2022년까지 10개로 확대한다. 업종·지역별로 벤치마킹 할 수 있는 시범공장도 현재 6개에서 50개로 늘린다. 지역마다 스마트공장 지원센터도 마련하고, 지자체와 지방중기청·테크노파크(TP) 등 유관기관 협의체도 구성한다. 스마트공장 도입 우수기업에는 연구개발(R&D) 사업과 정책자금 지원 등을 연계 지원한다.

기초 단계 벗어나 고도화 추진
기존 스마트공장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 142억원 규모의 고도화 전용사업도 신설한다. 센서·로봇·솔루션 등 기반기술과 인공지능·가상현실(VR) 등 고도화기술 관련 R&D 지원을 강화한다.
스마트공장 운영인력 양성을 위한 체계적 교육과정도 마련한다. 기존 생산인력을 스마트공장 운영인력으로 활용하는 재직자 직무전환 교육을 강화해 2022년까지 전문인력 5만명을 육성할 방침이다. 4개 대학과 연계해 스마트공장 기반 기술 개발과 운영설계 고도화를 위한 석·박사 교육과정도 확대한다.
중기중앙회를 비롯한 중소기업계도 스마트공장 확산에 적극 나서고 있다.
중기중앙회는 최근 스마트공장 확산센터를 출범시키고 스마트공장 도입 희망기업에 대한 상담과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중기중앙회는 스마트공장 확산센터를 통해 민간 주도의 업종·규모별 스마트공장 시범모델을 제시하는 한편, 정부의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 2만개 구축’ 목표와 연계한 민간차원의 대·중소기업 간 상생협력사업을 추진해 중소제조업체의 스마트 환경개선을 지원해 나갈 예정이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