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25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별관 회의실에서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염한웅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제1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가 열리고 있다.

국가과학기술 분야 최상위 자문기관인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의 첫 심의회의 결과가 나왔다.
특히 미래 먹거리라고 할 수 있는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해서 혁신기술 개발의 기반이 되는 ‘미래소재’를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 추진 방안이 지난달 25일 제1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 산하 운영위원회에서 확정됐다.
미래소재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IoT, 헬스케어, 환경·에너지, 안전분야 등 4차 산업혁명과 미래사회의 핵심영역을 뒷받침할 원천소재를 말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관계자는 “최근 4차 산업혁명의 도래로 초연결 지능사회로 빠르게 진화하고, 세계적 문제로 부상하는 고령화, 환경오염 및 한정적인 자원 및 재난·재해 등에 선제적 대응을 위해 원천소재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라며 “이번 과학기술자문회의를 통해 ‘미래소재 원천기술 확보전략’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것”이라고 밝혔다.

세계 각국이 미래소재 각축전
원천소재는 개발에서 상용화까지 20년 이상이 소요되고 성공가능성이 매우 낮다는 특성에도 불구하고, 한번 개발에 성공하면 신시장을 창출하고 장기간 시장선점이 가능하기 때문에 글로벌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추세다.
지난 1990년대 중반 일본 ㈜니치아는 질화감륨 기반의 청자색 LED와 LED제조기술개발 등 신산업을 창출했다. 이러한 미래소재 원천기술 개발로 2015년 기준으로 41조원에 달하는 전 세계 LED 시장에서 14%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한 바 있으며, 2014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미국, 독일, 일본 등 소재분야 해외 선진국에서는 미래사회를 선도할 소재개발 및 시장선점을 위해 장기적인 국가 전략을 수립하고 국가 역량을 집중하고 있는 실정이다. 미국의 경우 미래 신소재 개발을 위한 인프라 구축 및 연구개발방법론에 집중하고 있으며, 독일은 미래 지속가능한 산업(에너지, 교통, 건강, 환경, 사회인프라 등)을 위한 실용적 소재개발 중이다.
일본의 경우 2015년에 제5차 과학기술기본계획을 수립해 사회·경제 수요 및 환경 변화에 대비한 수요대응형 소재개발을 하고 있다. 중국은 2015년 ‘중국제조 2025’을 세우고 부품소재(중간재) 국산화를 위한 막대한 예산을 투입 중이다. 특히 핵심기초소재 자급률이 급격히 향상되고 있어 부품소재 분야의 강대국으로 급부상 중이다.

4대 분야 30종의 미래소재 선정
이에 정부는 빠르게 변화하는 미래사회 대응과 신산업 창출에 첨단소재의 중요성이 커지는 것에 대비해 지난 2015년부터 소재기술 혁신을 위한 정부정책을 수립해 왔었다. 이번 제1회 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에서 확정한 미래소재 원천기술 확보전략은 기존 정책을 좀더 구체적이고 중장기적으로 세부전략을 마련한 것이다.
우선 4차 산업혁명과 미래사회의 메가트렌드인 초연결·초고령·지속가능·안전한 사회에서 요구하는 과학기술적·사회적 이슈를 선제적으로 대응하는데 필요한 30대 미래소재를 도출했다. 필요한 약물을 몸속에 전달하는 소재 및 의료기기용 배터리 소재 등 초고령 건강사회를 위한 웰니스 바이오 소재 9개와 수소저장용 소재 같은 환경변화 대응소재 5개도 개발한다. 방사선 차폐소재 및 초고속 충전용 전지 소재 등 안전소재 8개도 미래소재로 선정했다.
소재 기술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 방안도 이번 전략에 담겼다. 정부가 연구비 전액을 지원하는 ‘미래도전 공공지원제’(퍼블릭형)와 기업과 연구자가 협업하는 ‘미래가치 사전공유제’(멤버십형)가 함께 마련됐다.
이밖에 중소·중견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우수기술의 상용화에 기초·원천기술의 보완(난제)이 필요한 경우, 해결방안을 모집하여 지원하는 ‘지식 크라우드형 R&D’를 도입한다. 이를 위해 ‘미래소재 R&D 난제은행 플랫폼’을 구축해 올해 하반기에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내년 이후 운영성과에 따라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김정원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R&D 로드맵을 2년 단위로 보완해 나가고, 우수 원천기술의 상용화를 위해 부처 간 협업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밖에도 이번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는 보건복지부, 환경부, 농촌진흥청이 제출한 안건 3개를 심의 확정했다. 제2차 보건의료기술 육성기본계획, 제4차 환경기술·환경산업·환경기술인력 육성계획, 제7차 농업과학기술 중장기 연구개발계획 등이다.

보건, 환경, 농업 분야 R&D 확정
특히 이날 자문회의가 확정한 제2차 보건의료기술 육성 기본계획(2018~2022)은 국민 의견을 대폭 반영했다. 15~69세 남녀 1000명을 설문 조사한 결과, 보건의료기술을 통해 해결해야 할 사회문제로 정신건강(30.5%), 고령화(24.3%), 환경오염(22%) 등이 지적됐다. 이에 정부는 치매 극복 R&D 사업에 10년 동안 1조원을 투자한다.
제4차 환경기술·산업·인력 육성계획(2018-~2022)은 기존 ‘환경기술 및 환경산업 육성계획’과 ‘환경기술인력육성계획’을 통합한 계획이다. 기술 수준을 세계 선도권으로 끌어올리고, 해외 시장을 확대하는 게 목표다.
제7차 농업과학기술 중장기 연구개발계획(2018~2027)은 기존 ‘식량 안보’에서 ‘농업의 지속 성장’으로 정책 방향을 바꿨다. 친환경 안전 농축산물 생산 기술, 3세대 스마트팜 개발 등을 포함한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