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지난 8일 정부과천청사 과기정통부 생각나눔방에서 열린 ‘제30회 생명공학종합정책심의회’에서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정부가 올해말까지 바이오 산업 관련 일자리를 3년 전보다 77% 많은 4만6000개로 늘리기로 했다. 또 2027년까지 농업생명공학 기술 경쟁력을 세계 5위 수준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내놨다.

유전자가위·합성생물학 등 투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보건복지부, 교육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8개 정부부처는 지난 8일 ‘생명공학종합정책심의회’를 열어 연말까지 바이오 기술 기반 일자리를 4만6000개로 늘리기로 했다. 이는 2015년 2만6000개와 비교하면 2만개(77%) 급증한 규모다. 정부는 2025년까지 바이오 기반 일자리를 총 12만개로 확대할 계획이다.
또, 정부는 2015년 1.7%인 세계 바이오 시장 점유율을 올해 2.3%로 높인 뒤 2025년 5%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세워놓고 있다. 글로벌 기술 수출액도 2015년 5억2200만달러에서 올해 8억5800만달러, 2025년 27억3200만달러로 늘릴 예정이다.
2015년 7166건이던 바이오 연구개발(R&D)의 사회문제 해결 기여 건수는 올해 7968건, 2025년 1만건으로 늘릴 방침이다.
정부는 올해 목표 달성을 위해 지난해보다 5.1% 늘어난 3조5778억원을 생명공학 육성에 투자할 계획이다. R&D에 5.6% 증가한 3조1290억원을, 인프라와 인력양성에 각각 1721억원과 2767억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R&D 중 △유전자 교정 기술인 ‘유전자가위’△미생물에 새 기능을 부여하는 ‘합성생물학 △미생물을 산업에 활용하는 ‘유용미생물’ 등 9개 과제에 총 45억원을 투자한다. 치매 예방 R&D에는 지난해의 2배인 97억원이 투자되며 국가 치매극복 기술에는 77억원이 신규 투입된다.
감염병과 줄기세포 R&D에는 각각 249억원과 352억원이 책정됐다. 농작용 자율비행 드론 개발에 90억원이 투입되며 상반기 중 스마트농업 솔루션 개발도 추진된다. 글로벌 수준의 백신제조시설 구축에 282억원, 신약개발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질환유효성평가센터 확충에 134억원이 투자된다.

‘해양 바이오 육성 전략’ 심의
한편 범부처 바이오 분야 정책 컨트롤 타워인 바이오특별위원회가 최근 통합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출범과 함께 새롭게 구성됐다.
과기부 과학기술혁신본부는 지난 11일 7개 관계부처와 민간전문가가 참여한 ‘제1회 바이오특별위원회’를 개최했다. 임대식 과기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이 위원장을 맡고 기존 과기부·농림부·산업부·복지부·해수부·식약처 등 6개 부처에서 농촌진흥청이 더해져 총 7개 부처가 참여한다.
또 김연수 충남대 신약전문대학원 교수, 김장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줄기세포연구센터장 등 전문가 14명이 민간 전문가로 위촉돼 바이오 분야 현장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한다.
이날 특위에선 해양생명자원을 원료로 생명공학기술을 활용해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에너지 등을 생산하는 ‘해양 바이오 산업 육성 전략’도 심의했다. 세계 해양바이오 시장 규모는 2016년 39억달러에서 2020년 48억달로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이에 해양수산부는 이번 계획을 통해 해양생명자원의 체계적인 확보 기반을 구축하고, 통합 관리를 통해 자원 활용도를 높일 방침이다. 또 산업계 수요를 반영한 상용화 R&D와 고부가가치 실용화 기술 개발을 위한 R&D를 병행 추진해 산업 생태계를 조성한다.
정부 관계자는 “최근 바이오 산업 성장 추이를 고려해 올해 목표를 설정했다”며 “과거에는 투자 성과가 미미했지만 최근에는 제약업계와 의료기기, 헬스케어 등 다양한 부문에 대한 기업 투자가 늘고 신생 벤처기업도 급증하고 있어 목표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