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이 자율주행차와 재생에너지, 사물인터넷(IoT) 가전 등 신산업에 앞으로 5년간 최대 160조원을 투자하고 정부가 규제 개선 등을 통해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한다.
정부는 신산업 육성을 통해 2022년까지 일자리 약 20만개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11일 그랜드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민간기업과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산업혁신 2020 플랫폼’을 발족하고 이 같은 신산업 발전전략을 논의했다.
플랫폼은 전기·자율주행차, 에너지, 반도체·디스플레이, IoT 가전, 바이오·헬스 등 5개 신산업에서 2020년까지 국민이 체감할 성과를 내는 것을 목표로 민간과 정부, 전문가 등이 머리를 맞대고 전략을 수립하는 민관 협의체다.
이날 참석자들은 2022년까지 계획을 담은 ‘신산업 프로젝트 투자·일자리 로드맵‘을 논의했다.
산업부는 5개 분야 기업들로부터 앞으로 5년간 투자계획을 취합한 결과 최대 160조원의 투자가 이뤄질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를 통해 5년간 일자리 약 20만개, 올해에만 약 2만7000개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했다.
전기·자율주행차 분야에서는 전기차, 수소차, 자율주행차를 중심으로 민간의 혁신적 신제품 출시와 시장 창출을 지원하고 정부는 충전 인프라 확충과 실증 등에 주력하기로 했다.
에너지는 친환경 에너지 기술개발로 경쟁력을 키우고 전기를 절약하면 보상받는 ‘국민 수요자원(DR) 거래제도’와 양방향 충전(V2G) 상용화 등 스마트에너지 관련 서비스 시장을 창출한다.
반도체·디스플레이는 민간의 대규모 투자를 바탕으로 후발국과 초격차를 유지하기 위한 차세대 기술 선점, 장비·소재 협력업체와의 상생협력 등을 추진한다.
IoT 가전에서는 무선 시범단지 구축 등 하드웨어 측면과 에너지저장장치(ESS)·빅데이터 연계 서비스 등 소프트웨어 측면의 기반을 모두 확보하기로 했다.
바이오·헬스에서는 저출산, 고령화에 대응하기 위해 의료 빅데이터를 보건복지부와 협업으로 구축하고 이를 활용한 건강관리, 신약 등 분야에서 국제 경쟁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투자계획 등이 차질 없이 이행될 수 있도록 ‘규제 샌드박스’ 도입 등 규제 개선과 산업현장에서 필요한 전문인력 양성에 힘쓰기로 했다.
산업부 연구개발 예산에서 신산업 비중을 현재 30%에서 2022년 50%로 확대하고 관련 특허·표준 등의 제도도 개선하기로 했다.
이날 회의에서 기업들은 에너지산업의 규제 개선, 미래형 자동차 부품개발을 위한 공급망 강화, 공공부문의 초소형 전기차 구매 확대 등을 건의하고 근로시간 단축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백운규 산업부 장관은 “새 정부 출범 1년을 맞아 투자와 일자리 등 산업 혁신성장의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나도록 민관이 함께 기회 요인을 발굴하고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는데 노력하자”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