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17개 시도 광역단체장들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일자리 혁신을 위해 지역주도 혁신성장에 필요한 제도 개선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문 대통령과 17개 시도지사는 지난달 30일 청와대에서 일자리 창출을 주제로 ‘제1차 민선 7기 시도지사 간담회’를 하고 이러한 내용을 포함해 7개 항으로 구성된 ‘정부와 지역이 함께하는 대한민국 일자리 선언’을 발표했다.

선언에는 통일경제특구 조성 등 남북 간 교류·협력사업이 지역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도록 상호 협력하는 것은 물론 지역 밀착형 생활 사회간접자본(SOC)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는 내용도 담겼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시도지사 간담회 모두발언에서 “일자리 창출이야말로 정부와 지자체가 맞닥뜨린 최대현안”이라며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간 강력한 협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생활형 SOC사업 적극 추진
문 대통령은 “최근 고용지표의 하락으로 국민 걱정이 크고 지역경제도 구조조정의 여파로 어려운 곳이 많다”며 “내년도 일자리 예산이 실효를 거두려면 정부와 지자체간 강력한 협업 필요하며, 그 협업은 지역의 필요와 여건에 맞게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국 17개 시·도지사는 이날 일자리 문제의 심각성을 공유하면서 각 시·도의 일자리 여건·계획·제안 등을 담은 지역별 맞춤형 일자리 창출을 위한 구상을 발표했다.

서울시는 돌봄·청년 뉴딜· 미래형 일자리 창출과 자영업자 일자리 안전망 구축 등 4대 구상을 밝혔다.
‘일자리는 생계를 넘어 모든 인간의 존엄이 걸린 문제’라는 기치 아래 중앙정부와 협력해 민생공감·현장중심의 실효성 있는 일자리정책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이다.
부산은 ‘부산형OK 일자리사업을 통해 자생력 있는 일자리 생태계 조성’을 내걸었다. 지역기업의 스케일을 키우고 지역주민이 참여하는 사회적 일자리 사업을 통해 지역기업과 지역주민, 지역경제가 동반 성장하겠다는 것이다.

대구는 ‘성장과 행복이 함께가는 대구형 청년일자리 정책’을 발표했다.
강소기업 성장을 지원해 청년일자리 5000개를 창출하고, 미래차·로봇, 에너지·스마트시티 등 미래 신산업을 육성해 청년 일자리 1만개를 만들며 산업별 거점대학 등을 통해 혁신인재를 연간 500명, 4년간 2000명 육성하겠다는 계획이다.

전남은 ‘도민이 행복한 전남형 일자리 창출을 위해’ 창업 원스톱 패키지 지원, 사회적경제 일자리 창출, 청년창업농 육성, 에너지 사이언스파크 조성, 첨단 신소재 산업 활성화, 남해안 관광휴양벨트 구축 등 구상을 밝혔다.
경북은 지방소멸에 대응해 청년일자리와 출산, 마을재생을 합친 ‘청년이 찾아오는 경북’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신성장 산업을 발굴해 좋은 일자리 10만개를 창출하는 목표를 세웠다.

충북은 ‘일자리 행복道 충북’을 모토로, ‘국토 X축 완성’ 정책이라는 큰 그림을 구상했다.
‘경부축’에 비해 상대적으로 낙후된 ‘강호축’ 집중개발로 ‘국토 X축’ 균형 발전을 도모해야 한다는 것으로, 강원~충청~호남 연결 교통망을 구축해 지역별 전략산업을 육성하고 남북교류협력을 촉진한다는 계획이다.

사회일자리·노사상생 일자리를 전면에 내세운 지자체도 있다.
경기는 ‘경기도형 공공부문 일자리 창출’에 힘을 실었다.
체납관리·공공관리소·시민순찰대 등 공공부문 일자리와 경기도 버스운수 종사자 지원 등 공익적 민간 일자리를 창출하겠다고 밝혔다.
세종은 ‘모두가 행복한 세종형 일자리 창출’로 조치원을 청년창업 중심지로 특화하고, 지역상권 경쟁력 강화로 청년중심의 지속가능한 일자리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5년간 장·단기 일자리 약 1300개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충남은 ‘저출산·고령화 극복을 위한 사회서비스 일자리 창출’을 강조했다.
민간·가정어린이집 보육도우미 채용 지원을 통해 일자리 1500개를 창출하고, 방문의료서비스 수가 책정 및 방문의료센터 조성을 통해 단기적으로 일자리 4800개를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시도별 일자리 창출구상 발표
제주는 10개 분야 44개 과제에 4조8000억원을 투자해 3만3000개의 ‘제주형 일자리’를 창출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영세기업 위주 한계 극복을 위해 선제적 조치로 공공부문 정규직 청년 일자리 1만개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광주는 적정임금, 적정노동시간, 노사책임경영, 원하청 관계개선 등 노사민정 ‘4대합의’를 반영한 노사상생의 일자리 모델을 ‘광주형 일자리’라고 명명했다.
강원도 ‘노사정 대타협 모델’을 강조하면서 강원도형 사회보험료 지원과 강원도 일자리 공제조합 설립을 통해 노동시장의 안정을 꾀하고 소득주도성장을 견인하겠다고 밝혔다.

일부 지자체는 ‘혁신’을 기치로 내걸기도 했다.
인천은 ‘새로운 인천을 위한 일자리 혁신 정책구상’에서 시장 직속 일자리위원회 신설을 통한 시스템 혁신과 공항경제권 시범 지정으로 일자리 5만개를 창출하겠다고 밝혔다.

또 환경 관련 기관과 파크를 조성해 일자리 7000개를, 바이오융합 산업기술단지를 조성해 일자리 6000개를 만든다는 구상도 내놨다.
대전은 ‘대한민국 혁신성장을 선도하는 대전’을 내걸고 ‘대덕특구 리노베이션’으로 국가 혁신성장 기반을 조성하고 첨단 일자리 2만개를 창출하겠다고 밝혔다.

울산도 ‘혁신성장을 통한 좋은 일자리 창출’을 모토로 내세웠다.
부유식 해상풍력 클러스터를 조성해 신재생에너지를 확대하고 조선해양산업 활로를 개척해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계획이다.

전북은 전북경제 체질개선을 위한 농생명·신재생·상용차 신산업으로, 경남은 스마트산업단지를 조성해 제조업 혁신을 통한 일자리 창출을 구상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