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간담회에서는 관광산업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 방안도 제시됐다.
관광산업이 제조업이나 다른 서비스업에 비해 고용 창출 효과가 뛰어나고 관련 시장이 빠르게 성장할 경우 소상공인, 중소기업 전반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가 상당할 것이란 기대에서다.
한국은행과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관광산업의 취업유발계수(2014년)는 18.9로 서비스업(17.3)이나 제조업(8.8)보다 높다.

이런 가운데 국내총생산(GDP) 대비 관광산업 비중(2017년)은 우리나라가 5.1%로 스페인(14.4%), 이탈리아(11.3%), 영국(10.9%), 독일(10.8%), 일본(7.5%) 등에 비해 눈에 띄게 낮다. 전체고용 대비 관광산업 비중(2017년)도 한국은 5.9%에 그치고 있다.
반면 스페인(14.6%), 독일(14%), 이탈리아(12.8%), 영국(10.9%), 일본(6.8%) 등은 우리보다 높다.

관광수지(관광수입-관광수출) 적자폭은 2013년, 2014년 당시 각각 -28억1600만달러, -17억5800만달러 수준이던 것이 2016년엔 -64억8900만달러로 늘더니 지난해엔 -137억4900만달러까지 급증했다.
이는 곧 우리나라가 관광산업의 장점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육성 여부에 따라 고용을 추가로 창출하고 연관 산업에 긍정적 파급력을 얼마든지 줄 수 있다는 것이다.

2016년 당시 우리나라를 찾은 외국 관광객은 1700만명을 넘어선 바 있다.
관광경쟁력 순위는 지난해 세계 19위까지 상승했다. 하지만 콘텐츠 부족과 높은 비용, 국내 여행 매력 저하 등의 이유로 관광수지 적자폭은 매년 확대되고 있다. 이웃나라 일본이 10년전부터 관광청을 신설해 산업을 적극 육성하고 있지만 우리는 ‘관광 컨트롤타워’가 없다는 것도 한계다.

이에 이날 중소기업계는 도종환 문체부 장관에게 관광청 신설을 건의했다. 관광산업을 명실상부한 국가 전략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함이다. 또 문화관광계 인력풀 활용을 통해 도시재생 뉴딜정책을 추진하고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규제 개선을 촉구했다.

중소기업계는 관광산업 육성 지원을 위한 제도 개선과 도입도 제안했다.
구체적으로 △웰니스 관광클러스터, 대·중소기업 상생형 복합리조트 조성 △지역특화관광자원 집중 발굴·육성 △문화관광계 인력풀 활용한 도시재생 뉴딜정책 추진 △지역전략 관광산업 육성을 위한 규제프리존 도입 △4차 산업혁명 기반기술 활용한 중소 관광업체에 대한 지원 확대 △지역 특화 콘텐츠 기반 관광벤처기업 발굴·육성 등이다.

김경만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우리나라는 관광산업 비중이 해외에 비해 낮은 만큼 육성 결과에 따라 일자리 창출 및 경제성장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관광산업을 명실상부한 국가 전략산업으로 육성할 수 있도록 4차 산업혁명과 연계해 신산업을 육성하고 관광산업에 대한 획기적 규제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