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 복권 판매액이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2조원을 넘어서며 사상 최대치를 갈아치웠다. 복권 판매액 증가율은 같은 기간 경제성장률의 2배를 넘었다. 경기 활력이 떨어지고 양극화가 지속되면서 복권에 희망을 거는 이들이 늘어났다는 분석이다.

기획재정부 복권위원회의 ‘2018년 상반기 복권판매사업 내역’에 따르면 올 상반기 복권판매액은 2조1705억원을 기록했다. 상반기(1~6월) 기준 사상 첫 2조원을 넘겼던 지난해 판매액(2조469억원)보다도 6.0% 늘어난 금액이다.

판매된 복권의 종류별로는 로또복권이 단연 최고였다. 로또 판매액은 1조9687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지난해 상반기 로또 판매액(1조8583억원) 대비 5.9% 늘어난 금액이다.
이밖에 스피또1000 등 인쇄복권이 1176억원, 결합(연금)복권이 526억원, 파워볼 등 전자복권이 316억원 등으로 많았다.

한때 정체상태를 보이던 복권 판매액은 2015년 이후 급증하기 시작했다. 연간 복권 판매액 증가율은 2012년 3.4%, 2013년 1.5%, 2014년 1.5%에 그쳤으나, 경제성장률이 2.6%에 그친 2015년에는 판매량이 8.3% 증가했다. 경제성장률이 2.7%를 기록한 2016년엔 판매량이 9.3% 가량 급증했다.

한국은행이 최근 발표한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올 상반기 경제성장률은 2.8%다. 같은 기간 복권 판매 증가율(6.0%)이 경제성장률보다  2배 이상 높았다는 얘기다.
일각에선 경기 불황을 이유로 든다. 복권이 대표적인 ‘불황형 상품’이란 점에서다.

2003년 4조2000억원(연간 판매금액 기준)으로 정점을 찍은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세를 보였던 복권판매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2조4636억원으로 전년대비 3.4% 증가하며 하락추세를 멈췄다. 당시 기재부는 “경기불황에 국민들의 행운 기대감으로 복권 판매가 늘었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이후에도 복권 열풍은 이어져 발행 총량 제한 조치까지 취해졌지만 늘어나는 복권 판매를 막지는 못했다.
정부는 2011년 복권 판매액이 지난 2004년 이후 7년 만에 연간 3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자 복권 발행 총량 제한제를 도입했다. 하지만 2011년 3조원을 돌파한 복권판매는 이후 꾸준히 증가했다.

한 민간경제연구소 관계자는 “복권의 경우 전형적으로 불황일 때 소비가 많이 된다”며 “불확실한 미래에 대비해 판매가 늘어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