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가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비슷한 2%대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따른 구조적 장기침체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는 진단도 나왔다. 특히 생산가능인구가 감소하고 저성장이 지속되며 과거보다 낮은 수준에서 신규 취업자 수의 새로운 표준이 형성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됐다.

홍준표·정민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최근 ‘2019년 국내외 경제 7대 이슈’에서 “한국경제는 투자 위축, 소비 부진의 장기화가 예상되며 노동 투입 축소, 노동생산성 정체 등 구조적으로 장기침체에 진입할 수밖에 없는 현실에 직면하고 있다”고 밝혔다.

올해 한국경제는 전년 대비 2%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내년에는 올해보다 경기가 더 어려우리라는 진단이 지배적이다.

소비, 투자 등 내수의 힘은 점차 빠지고 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총고정자본형성은 1990년대 초중반 40%에서 1990년대 말 외환위기 이후 30% 안팎으로 위축했다. 반대로 총예금 대비 기업예금은 외환위기 이후 확대 추세다. 기업들이 투자를 꺼리고 현금을 쌓는 등 보수적인 경영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고령화 탓에 전체 가구의 평균 소비성향은 2007년 76.7%에서 2016년 71.7%로 후퇴했다. 노동생산성도 2011년 이후 정체한 상태다. 지난해 기준으로 한국의 노동생산성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의 61%에 그친다.

실물지표를 세부적으로 보면 내년에는 소비 불균형이 내수 기반 악화로 번질 수 가능성이 있다. 국내 가계의 해외지출은 늘고 있지만, 외국인의 국내 지출 증가세는 더디고 정부 지출 위주의 소비 증가세만 위태롭게 이어지고 있다는 점에서다.

반도체 이후 성장세를 이끌 주자가 없다는 점도 내년에 문제로 두드러질 전망이다. 세계 반도체 시장 규모 증가율은 2017년 21.6%에서 2018년 15.7%, 2019년 5.2%로 점차 둔화하고 있다. 중국이 정부 주도로 대규모 투자에 나서고 있는 터라 반도체 시장에서 한·중 경쟁도 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내년에는 기업들의 엑소더스 가속 가능성도 나온다. 기업들의 해외투자가 지속해서 늘어나는 가운데 법인세 인상 등 국내 규제 장벽은 높고 보호무역주의가 강화하고 있어서다.

고용시장에는 ‘뉴노멀’이 도래할 것으로 예상된다. 실업률은 3%대 후반, 고용률은 60% 중반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에도 취업자 수 증가 폭은 2017년 이후 둔화하는 추세다.

보고서는 생산가능인구 감소, 경제 내 고용창출력 하락 때문에 앞으로 예전만큼 취업자 수가 늘기 힘들다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적절한 취업자 수 증가 폭에 대한 새로운 표준이 제시될 것으로 전망했다.

대외적으로는 미국 경제가 2009년 6월 저점 이후 2018년 10월까지 112개월간 역사상 두번째로 긴 경기 확장 국면을 맞는 가운데 미국의 금리 정상화가 지속될 것이라는 점이 내년 경제의 변수로 꼽힌다.

신흥국의 부채 규모가 최고 수준에 이른 가운데 달러 강세, 무역 갈등 등으로 금융 불안이 확대될 수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한 이슈다.
보고서는 “성장세가 소멸하지 않도록 투자 활력 제고, 규제 개혁 노력과 함께 직업 교육 등이 필요하다”며 “소비 회복을 위해 실질 근로소득을 높일 수 있는 다각적인 방안이 요구된다”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