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심한 구인난에 시달리는 비수도권 중소기업과, 반대로 구직난을 겪고 있는 청년층 모두 중소기업 취업 활성화를 위해 “대·중소기업 임금격차를 해소해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중소기업중앙회(회장 박성택)는 지난 10~11월 비수도권 소재 중소기업 300개사와 만15~29세 청년층 500명을 대상으로 각기 ‘지역인재 채용 현황 및 정책의견 조사’와 ‘청년층의 중소기업 취업 인식 조사’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조사 결과, 조사 대상 기업의 81.4%가 최근 3년 동안 지역(광역지방자치 구역)인재 채용 비율이 50% 이상인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지역인재는 중소기업이 필요로 하는 업무와 관련한 직무교육을 특성화고, 대학교, 전문대학에서 받고 있거나 졸업한 중소기업 소재 지역 거주자를 뜻한다.

지역인재 수도권으로 이탈 심각
지역 인재 채용 비율이 50% 미만인 나머지 18.6% 기업은 채용을 하지 못한 이유로 ‘지역소재 인력이 지원하지 않아서’(42.9%)를 가장 많이 꼽았다.
또 앞으로 지역인재를 활용할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에 응답업체의 82%가 ‘그렇다’고 답했으며, 88%는 지역 인재의 원활한 공급이 지역 중소기업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평가했다.

하지만 47.7%는 지역 인재의 수도권 또는 타지역으로 이탈이 심각함을 체감하고 있다는 반응을 보여, 비수도권 취업자들의 수도권 쏠림 현상이 지방 중소기업의 인력난이 맞물려 있다는 인식을 반영했다.
비수도권 소재 중소기업은 ‘지역 우수 인재가 지역 내 중소기업 취업을 꺼리는 이유’에 대해 ‘낮은 급여·복리후생 수준’(65.0%·복수응답), ‘열악한 작업 환경’(35.7%), ‘수도권·대도시 선호 경향’(27.7%) 등이라고 자체 분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비수도권 중소기업이 필요로 하는 직종과 청년층이 취업하고자 하는 직종 간에는 차이가 있었다.
비수도권 소재 중소기업의 경우, 채용이 가장 어려운 직종으로 ‘단순노무직’(22.0%)을 많이 꼽았다.

반면 제조업·IT업종 중소기업에 취업할 의향이 있는 청년들은 취업 희망 직종으로 ‘사무·관리직’(50.9%)을 주로 꼽았고, ‘단순노무직’은 가장 낮은 5.3%에 불과했다.

비수도권 중소기업의 지역인재 채용, 청년의 중소기업 취업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지원·정책에 대해서는 비수도권 소재 중소기업과 청년층 모두 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지원이 효과 있을 것이라고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수도권 소재 중소기업은 중소기업의 지역 인재 채용 확대를 위해 정부·지자체가 우선 추진해야할 정책에 대해 가장 많은 60.0%(복수응답)가 ‘지역인재 채용보조금 지급 확대’라고 답했다.

주거·복지 등 근무환경 개선 절실
이어 ‘주거시설 교통인프라 확충’(32.0%), ‘중소기업 인식개선사업 확대’(27.7%) 등을 주로 꼽았다.
청년들 역시 중소기업 취업 활성화를 위해 가장 필요한 지원·정책으로 ‘근무·작업 환경 개선’과 ‘대기업 등과의 임금 격차 해소‘를 바라고 있었다.

같은 질문에서 청년들은 ‘근무·작업환경 개선’(56.2%·복수응답), ‘대기업과의 임금격차 해소’(54.6%)를 가장 많이 응답했다.
이어서는 ‘주거·복지 등에 대한 지원’(33.0%), ‘중소기업 주변 환경 및 거주·생활 여건 개선’(21.6%), ‘주변 교통·문화·복지시설 개선·확충’(17.2%) 등 외부 인프라를 언급하는 응답이 많았다.
취업 결정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점에서도 ‘급여·복지수준’(48.3%), ‘근무환경·여건’(26.1%)이 가장 많이 꼽혀 근무환경 개선·임금격차 해소 정책의 필요성을 뒷받침했다.

이재원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중소기업, 청년 모두 대기업 등과의 임금 격차를 체감하고 있어 임금격차 해소 정책이 절실한 상황”이라며 “직종 간 미스매칭도 보이는 만큼 단순노무직이 아닌 사무관리, 영업, 기술·기능직에 국내 인력이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정책 방향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