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에 공장을 둔 A사는 최근 현지 공장부지에 기도시설을 세워야 했다.
글로벌 고객사가 현지 근로자의 종교·문화적 특성을 배려해야 한다며 CSR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요구했기 때문이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국내 수출기업 120여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수출기업의 CSR 리스크 실태’ 결과를 발표했다.
그 결과 A사처럼 응답 기업의 54%가 글로벌 고객사로부터 수출·납품 과정에서 CSR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CSR 평가를 받은 곳 중 19.1%는 “평가 결과가 실제 사업에 영향을 줬다”고 답했다.
이들은 ‘협력사 선정 배제’(61.5%) ‘해결 후 조건부 납품’(38.5%) ‘납품량 축소’(15.4%) ‘거래 중단’(7.7%) 등의 형태로 영향을 받았다고 했다.

조사를 진행한 대한상의 지속가능경영원은 “글로벌 기업들이 CSR 관리 범위를 1·2차 협력사까지 확대하면서 국내 수출기업들에 비상등이 켜졌다”고 판단했다.
이들 기업이 CSR 평가를 받은 분야는 ‘환경’(93.8%)이 가장 많았다. 이어 ‘안전·보건’(83.1%), ‘노동’(80%), ‘인권’(75.4%), ‘윤리’(73.8%), ‘공급망 CSR 관리’(61.5%) 등의 응답률이 높았다.

이들 기업은 CSR을 평가를 받는 과정에서 고객사들이 ‘서로 다른 인증과 중복 자료 요구한 점’(59%)을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았다.
이밖에도 ‘영업기밀 등 과도한 정보 요구’(47.5%), ‘비용 부담’(41%), ‘기업 특성에 맞지 않은 자료 요구’(37.7%) 등도 기업들을 어렵게 만든 요인들이었다.

응답 기업 중 상당수는 기업의 CSR 리스크 대응을 위해 정부가 ‘컨설팅과 교육’(56.3%)을 제공해야 한다고 답했다.
‘필요한 정보 공유’(50.8%), ‘인증, 심사 등 비용 지원’(45.2%), ‘CSR 인증제도 신설 및 해외인증과 상호인정’(39.7%), ‘CSR 우수기업 인센티브 제공’(38.9%)도 시급한 정부의 정책과제로 꼽혔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