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수지 흑자가 81개월 연속 이어졌지만 규모는 7개월 만에 가장 작은 수준으로 축소됐다.
반도체, 석유화학 제품 등 주력 수출 품목의 단가 상승세가 주춤하고 세계 교역량이 둔화한 영향이 국제수지에도 반영되기 시작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은행이 최근 발표한 ‘2018년 11월 국제수지(잠정)’를 보면 지난해 11월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50억6000만달러였다.

경상수지 흑자는 2012년 3월부터 지금껏 이어지며 사상 최장 기록을 경신했다. 그러나 흑자 규모는 지난해 4월(17억7000만달러) 이후 최소치로 쪼그라들었다.

그동안 경상수지 흑자 확대를 이끌어온 상품수지가 주춤했다. 상품수지는 79억7000만달러 흑자로, 역시 지난해 2월(59억3000만달러 흑자) 이후 최소 수준으로 내려앉았다. 수출이 1년 전보다 0.5% 증가하는 데 그친 여파다.

한은 관계자는 “반도체, 석유제품 등 주력 품목 단가 상승이 둔화했고 미·중 무역분쟁이 현실화하며 세계 교역량이 둔화했다”며 “반도체 단가 상승 둔화, 세계 교역량 둔화는 일시적인 요인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반면 원유 도입 단가가 오르며 수입은 9.3% 늘었다. 서비스수지는 22억9000만달러 적자를 냈다. 적자 규모는 전년 동월(-32억7000만달러) 대비 축소했다.

서비스수지 품목별로 보면 여행수지는 12억7000만달러 적자를 기록, 1년 전 같은달(-15억5000만달러)보다 적자 규모를 줄였다.

입국자가 1년 전보다 23.5% 늘었으나 출국자는 기저효과 등으로 3.1% 증가하는데 그쳐서다. 특히 중국인 입국자는 35.1%, 일본인은 40.5% 증가했다.

운송수지는 1억4000만달러 적자였다. 적자 규모는 1년 전(-5억달러)보다 작아졌다.
컨테이너선 운임 상승에 힘입어 해상운송수지 적자 규모가 1억8000만달러로 축소했고 항공운송수지가 입국자 증가로 8000만달러 흑자를 낸 영향이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