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올해 4천개 보급 계획…지원금 2배로 늘리고 절차 간소화

[중소기업뉴스=이권진 기자]  올해 스마트공장 보급 사업에 정부가 총 3428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이는 지난해 1330억원의 2.6배에 달하는 금액이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이 같은 내용의 '2019년 ICT 융합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사업'을 13일 공고했다.

이는 지난해 12월 정부가 발표한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을 구체화한 것이다. 정부는 제조업 전반의 혁신을 위해 스마트공장을 확산시키겠다는 구상을 갖고 있다.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 3만개를 보급한다는 목표를 세운 정부는 올해 4000개를 보급할 계획이다. 정부가 2800개, 대기업 등 민간이 1200개를 맡는다.
 
정부는 각 기업에 주는 지원금도 늘린다. 스마트공장을 새로 구축하는 경우 지원 한도는 기존 5000만원에서 1억원으로 늘리고, 기존 구축 기업이 '레벨3 수준' 이상으로 스마트공장을 고도화하면 최고 1억5000만원을 지원한다.

신청부터 선정까지 절차도 간소화했다. 5주가 걸리던 선정 기간은 2주로 줄이고, 같은 해에 참여할 기회는 2회까지 허용해 1년 안에 기초 수준부터 고도화까지 가능하도록 지침을 바꿨다.

'상생형' 스마트공장에 대한 지원도 확대해 중소기업이 대기업으로부터 노하우를 습득할 수 있도록 했다. 이런 사업이 민간 주도로 이뤄지도록 유도하기 위해 2개 이상의 대기업이 공동 출연한 경우에도 스마트공장 구축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문호를 개방했다.

시범공장은 25개 보급한다. 모델하우스처럼 기업들이 스마트공장을 편리하게 벤치마킹할 수 있도록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시범공장을 만들겠다는 것이다.

시범공장 사업에 선정되면 기업당 최대 3억원을 지원받을 수 있고, 그중 5개 기업은 로봇을 함께 구축해 최대 6억원까지도 수혜가 가능하다고 중기부는 설명했다.

업종별로 특화한 스마트공장을 구축할 경우 해당 기업과 대표기관이 컨소시엄을 구성, 스마트공장을 구축하도록 장려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자금 여력이 있는 대표기관은 협력사의 구축비용을 함께 부담할 수도 있다.

중기부 관계자는 "컨소시엄 참여기업이 많다면 스마트공장 수요 기업은 공동 구매 방식으로 도입 비용을 줄이고, 공급 기업은 비슷한 솔루션을 대량으로 판매한다는 점에서 윈윈 모델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중기부는 올해 로봇을 활용한 제조혁신 지원 사업도 대폭 확대, 지난해 30억원에서 올해 90억원으로 늘렸다.

우선 금속가공, 기계, 화학제품 등 산재 위험이 높은 업종의 기업 15곳 이상을 지원하고, 올해 시범공장 사업에 선정된 기업 중 5곳에도 로봇을 지원한다.

공장뿐만 아니라 전문가의 노하우도 지원하는 '스마트 마이스터' 사업도 도입된다. 대기업에서 퇴직한 스마트공장 전문가 등이 약 3개월 동안 스마트공장을 들인 중소기업에 파견돼 제조 노하우를 전수하는 것이다.

또 '스마트화 역량 강화' 사업을 통해 중소·중견기업이 전문 컨설팅 기관의 기업 진단과 자문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정부는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중소기업이 공공기관에 납품을 원할 경우 가점을 줄 계획이다.

정부의 지원 없이 스마트공장을 도입한 기업에는 '스마트공장 수준확인서'를 제공, 향후 스마트공장 방향 설정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진단 보고서와 고도화 로드맵을 지원하기로 했다.

사업신청을 원하는 중소·중견기업은 스마트공장 지원사업 종합관리시스템(it.smplatform.go.kr)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