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반도체·자동차 등 주력제조업에서 노동생산성 증가세가 현저히 둔화했으며, 기술 수준이 높은 선도기업도 예외는 아닌 것으로 분석됐다.

경제 성장을 이끌어온 업종에서 노동생산성 증가율이 둔화하면 한국 경제 경쟁력이 약화할 수 있는 만큼 규제 완화와 구조개혁을 통해 생산성을 높여야 한다는 진단이 나왔다

지난 9일 한국은행 조사통계월보 3월호에 실린 ‘산업별 노동생산성 변동요인 분석’ 보고서를 보면 연평균 제조업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2011〜2015년 2.2%로, 금융위기 이전인 2001〜2007년(7.9%)보다 5.7%포인트 하락했다.

반도체와 휴대폰이 포함된 고위기술의 연평균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같은 기간 14.5%에서 6.8%로 7.7%포인트 떨어졌다.

노동생산성 증가율 둔화 원인으로는 총요소생산성 증가율 둔화가 꼽혔다.

총요소생산성이란 노동과 자본의 투입량으로 설명되지 않는 부가가치의 증가분으로, 생산과정에서 혁신과 관련 깊다.

혁신기업 출현이 지체되고, 노동과 자본이 비효율적으로 배분되면 총요소생산성 증가세가 둔화한다.

기업 수준별로 보면 총요소생산성이 상위 5%에 해당하는 선도기업도 노동생산성 증가율 둔화를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선도기업을 제외한 나머지 기업들의 총요소생산성 증가율도 고위기술 업종에서 7.2%포인트 내린 2.3%, 중고위 업종에선 7.6%포인트 하락한 -2.5%로 조사됐다. 제조업에서 전반적으로 생산의 효율성이 나빠진 셈이다.

보고서를 작성한 한국은행 김도완 과장·이상협 조사역은 “선도기업 생산성 둔화는 수출 증가세 약화·혁신 부진 때문”이라며 “후행 기업의 경우 신규기업 진입·한계기업 퇴출이 원활하지 못해 생산성 증가율이 둔화했다”고 설명했다.

서비스업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소폭 둔화하는 데 그쳤다.

서비스업 연평균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금융위기 후 2.3%로, 이전(2.5%)보다 0.2%포인트 하락했다.

세부 업종별로 보면 정보기술(IT)·정보서비스와 통신 등이 포함된 정보통신기술(ICT) 생산자서비스업에서는 증가율이 큰 폭으로 낮아졌다.

ICT생산자서비스업 생산성은 2011〜2015년 3.1%로 금융위기 이전(9.0%)보다 5.9%포인트 하락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