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뉴스=이준상 기자] 5세대(5G) 이동통신 기술의 상용화로 향후 10년 동안 관련 산업에서 최대 33만명의 고용이 창출될 것이라는 국책 연구기관 분석결과가 나왔다.

24일 한국노동연구원 '고용영향평가 브리프'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시작된 5G 기술의 상용화가 앞으로 10년 동안 관련 산업에 초래할 고용 효과는 최대 33만명(누적 기준)에 달할 것으로 추정됐다.

업종별로는 유통업(12만명)이 가장 많았고 제조업(8만2000명), 미디어(3만7000명), 헬스케어(3만1000명)가 뒤를 이었다. 제조업에서는 자동차업(1만5000명)의 고용 효과가 상대적으로 클 것으로 보고서는 전망했다.

보고서는 5G 기술 상용화로 이용자가 늘어나면 관련 산업의 투자가 확대되고 이는 생산 증대와 고용 창출을 낳을 것으로 예상했다.

보고서가 제시한 5G 상용화의 고용 효과는 5G 전략산업에서 2026년까지 60만명의 고용을 창출한다는 정부 목표와는 차이가 있다.

보고서는 "정부 목표와 차이가 나는 것은 분석 방법의 차이와 함께 파급 효과의 범위를 어디로 볼 것인가에서 비롯된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5G 상용화에 따른 기술 진보가 과거 2∼4G보다 빠를 것으로 가정할 경우 ICT(정보통신기술) 산업 내부에 초래할 고용 효과는 앞으로 10년 동안 4만3000명∼7만7000명으로 추정됐다.

보고서는 5G 상용화의 고용 창출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5G 상용화를 고용 친화적 방식으로 추진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보고서는 "5G 환경에 따른 서비스 제공 폭의 확대는 중소·벤처·스타트업 기업에 좋은 기회"라며 "5G 상용화는 통신 3사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구조인 만큼, 중소기업이 협력사로 참여하는 협력적 네트워크의 구축을 정부가 유도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5G 기술 기반으로 진행되는 디지털 전환에서 장년층 등이 소외되지 않도록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며 "이들을 대상으로 직업훈련이나 직무 전환 교육훈련이 제공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