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서베이 결과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도 주요인 지목

금융전문가들은 국내 금융시스템 리스크 요인으로 미중 무역분쟁과 한국경제의 성장세 둔화를 꼽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지난해 조사 때 응답률이 높았던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 등은 이번 조사에서 제외됐다.

한국은행이 최근 발표한 ‘2019년 상반기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설문에 참여한 금융전문가 67%가 주요 금융리스크 요인(5개 복수응답)으로 미중 무역분쟁을 지목했다.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를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지목한 전문가도 66%에 달해 비슷한 비중을 나타냈다. 이밖에 기업실적 부진(44%), 부동산 시장 불확실성(44%), 가계부채 누증(43%)을 리스크 요인으로 꼽는 전문가들이 많았다.

 

기업실적 부진, 새 요인 추가

지난해 11월 서베이 결과와 비교하면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 중국 금융·경제 불안이 주요 리스크 요인에서 제외됐고 수출감소 등 기업실적 부진이 새 요인으로 추가됐다. 

이런 가운데 응답률 50% 이상인 리스크 요인 개수는 지난해 11월 4개에서 이번에 2개로 줄어 특정 리스크 요인에 우려가 집중되는 정도가 전에 비해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1월 기준 응답률 40%이상인 리스크 요인을 살펴보면 미중 무역분쟁 심화(81%),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67%),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59%), 중국 금융·경제 불안(51%), 가계부채 누증(45%), 부동산시장 불안정(41%)등 이었다.

주요 금융리스크 요인을 1순위 응답빈도 수 기준으로 보면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22%)가 가장 많았고 미중 무역분쟁(21%), 글로벌 경기 둔화(11%), 가계부채 누증(9%), 중국 금융경제 불안(6%)) 등이 뒤를 이었다.

1년 이내(단기)에 발생할 가능성이 큰 리스크로는 미중 무역분쟁, 기업실적 부진,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가 꼽혔다. 1〜3년 이내(중기)에 발생할 가능성이 큰 리스크로는 부동산시장 불확실성, 가계부채 누증이 지목됐다.

 

1~3년 사이 충격 가능성 34%

발생 가능성이 높은 요인으로는 기업실적 부진,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를 선택한 전문가가 많았고,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요인으로는 기업실적 부진, 미중 무역분쟁,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를 지목한 전문가가 많았다.

1년 이내에 금융시스템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응답한 비율은 지난해 11월 조사 때 29%였으나 이번 조사에서는 4%로 낮아졌다. 또한 1~3년 사이에 금융시스템에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도 지난해 40%에서 올해 34%로 하락했다.

이와 관련 한은 관계자는 “금융기관 복원력, 대외지급능력 등이 양호한 상태를 지속하고 있고 이전에 비해 주요 리스크에 대한 우려가 분산된 데에도 일부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금융시스템 안정성 지난해보다 개선

금융시스템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충격의 발생 가능성이 하락한 가운데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에 대한 신뢰도는 지난 서베이 시점에 비해 더욱 개선된 것으로 조사됐다.

향후 3년간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이 ‘높다’는 응답은 37%에서 50%로 상승했으나 ‘보통’(56%→44%)이나 ‘낮다’(7%→6%)는 응답은 하락했다. 

 한편 한은은 매년 두 차례 국내외 금융기관 종사자와 금융전문가를 상대로 한국 금융시스템의 주요 리스크 요인을 조사해왔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22일부터 이달 14일까지 국내외 금융기관 임직원과 교수·연구원, 해외 금융기관 한국투자 담당자 등 경제·금융 전문가 총 96명을 상대로 이메일 서베이 형태로 이뤄졌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