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정태(한국경영혁신중소기업협회 회장)

<중소기업뉴스>는 경제 이슈에 대한 다양한 시선을 심도 있게 전하고자 전통제조업, 벤처기업, 여성기업, 소상공인 등 각분야를 대표하는 중소기업단체장을 필진으로 구성해 ‘中企 에세이’ 코너를 신설한다. 필자들은 중소기업 현장에서 느낀 경험과 소회를 생동감 있게 전하며 중소·벤처기업 역량 강화를 위한 방향을 제시할 예정이다. <편집자 주>

 

중소기업인들은 예전의 여느 어려웠던 때보다 현재 경제 상황을 훨씬 엄중하게 바라보고 있는 분위기다. 위기를 극복할만한 잠재적 성장동력이 빠르게 약화 돼 제대로 된 대응조차 엄두를 내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실제로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2020년대 경제성장률이 1%대에 머무를 수도 있다고 예측해 우리를 더욱 긴장시킨다.

우리의 성장을 발목 잡는 근본적인 요인은 무엇일까. 국제통화기금(IMF)은 ‘2019년 연례협의 보고서’에서 “경기적·구조적 요인들이 성장 전망의 위험을 높이고 있다”라고 진단하며 민간주도 성장, 포용성 촉진, 생산성 강화를 3가지 극복 요소로 제안했다.

이 세 가지는 우리 경제가 살아남을 필수 불가결 요소라고 말할 수 있다. IMF의 권고는 중소기업이 자발적 혁신으로 생산성을 강화해 성장함으로써 국민의 절대적 다수인 중소기업인, 중소기업 근로자의 소득을 견인해 포용성을 촉진해야 함을 내포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역시 중소기업이 고용 성장에 이바지하고 있지만, 혁신 활동에 훨씬 많은 투자를 통해 임금과 생산성을 높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성장엔진의 냉각기에 우리가 어떻게 혁신 활동을 지원해야 할 것인가는 중소기업의 비중과 역할이 남다른 일본에서 좋은 사례를 찾을 수 있다.

일본이 1990년대 장기불황을 거치면서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여러 가지 제도적 장치를 마련한 사실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일본은 제품 개발, 기술혁신의 패러다임을 뛰어넘어 중소기업의 경영혁신을 위한 지원법률을 마련하고, 기업이 스스로 경영혁신 계획 수립과 성과 목표를 제시하고 이를 달성할 수 있도록 민관합동으로 종합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경영혁신 지원을 통해 5년 연속 적자에서 4년 연속 흑자기업으로 환골탈태한 성공사례를 살펴보자.

일본 사이타마현에서 운송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 기업은 시장 침체와 직원의 잦은 이직, 연료비와 같은 비용상승에 더해 과당경쟁으로 운임 단가까지 대폭 할인하는 어려움을 겪었다.

결국, 채무초과 상태가 되고 창업자이자 대표자의 건강 악화로 하루 속히 사업승계까지 해야 하는 상황에 부딪쳤다. 이 기업은 고심 끝에 기업혁신을 통해 문제 해결과 새로운 성장을 하겠다는 경영혁신 계획을 지역 중소기업청에 제출했다.

본 계획이 심사를 거쳐 승인되며 회계, 인사 등 경영혁신 전문가들이 투입되고 경영진단을 거쳐 내부 혁신을 추진했다. 인사조직체제 개혁으로 우수 운전인력과 관리인력의 장기근속을 위해 정기승진, 성과 배분 규칙을 마련하고 정량적 성과관리 시스템과 목표 관리제를 도입해 체계적으로 경영했다. 그리고 일부 영업소 매각으로 차입금 의존도를 개선해 자금부담을 줄였다.

이와 같은 경영혁신을 추진해 2011년 매출 13억엔, 경상이익 적자 6000만엔이던 기업이 2015년 매출 15억엔, 경상이익 1억 9000만엔으로 경영이 정상화됐다. 자기자본도 플러스로 돌아섰고 가업 승계도 성공적으로 완료되는 일거양득의 효과를 이뤘다.

일본 사례가 우리에게 주는 정책적 시사점은 매우 중요하다. 우선 정부가 경영혁신 개념을 정의하고 법제화해 중소기업의 자발적 혁신을 장려해 세계 시장에서 생존할 수 있도록 역량을 강화하는 데 집중했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경영혁신을 통해 중소기업 주도 경제구조를 구축하고 일자리 창출, 부가가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우리 기업인과 정부가 함께 만들어갈 미래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