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 2023년까지 10조원 투자해 AI·빅데이터·수소분야 집중 육성

▲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12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제17차 경제활력대책회의에서 모두발언하고 있다. 

정부가 인공지능(AI)과 데이터, 수소 등 플랫폼 경제와 다른 산업간 융복합을 통해 혁신성장에 속도를 내기로 했다. 이를 위해 오는 2023년까지 플랫폼 경제에 10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정부는 지난 12일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경제활력대책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플랫폼 경제 추진성과 및 향후 확산 방안’을 확정했다.

홍 부총리는 이날 모두발언에서 “그동안 정부는 분야별 로드맵의 조속한 이행을 통해 플랫폼 경제 성장기반을 확립하는 데 집중해왔다”면서 “플랫폼 경제 활성화를 위한 2단계 방안으로 플랫폼과 다른 산업의 융복합 가속화, 선순환 생태계 구축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플랫폼 경제와 다른 산업과의 융복합 사업은 올해부터 본격 추진된다. 정부는 2022년까지 80억원을 들여 AI기반으로 안면인식을 통해 출입국자를 식별하는 첨단 출입국 심사대를 개발, 인천공항에 시범 도입하기로 했다. 

2026년까지는 409억원을 들여 빅데이터를 활용,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을 고도화한다. 이를 통해 소득이나 재산 등 데이터를 토대로 출산과 실직 등 신상변동이 발생할 때 수급 가능한 복지서비스를 찾아 선제적으로 안내해주는 복지멤버십을 도입한다. 이는 복지 사각지대의 위기 가구 등에 주기적으로 상황에 맞춰 수급 가능성이 높은 복지사업을 신청할 수 있도록 맞춤형으로 안내해주는 시스템이다.

분산된 사회보장, 바우처, 보육 등의 정보시스템을 통합하는 플랫폼도 구축한다. 2021년까지는 AI와 빅데이터 분석을 바탕으로 농산물 생산과 유통 정보를 연계한 종합정보시스템을 구축해 농산물 수급예측에 활용한다. 올해는 스마트 공장 내에서 생산된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제조 데이터 네트워크 구축도 검토한다.

정부는 시장과 기술, 인재, 제도 등 4개 분야에서 플랫폼 경제 생태계 고도화도 추진한다. 정부는 AI, 데이터, 수소 등 3대 플랫폼과 혁신 인재 양성을 위해 올해 1조5000억원을 투자하는 등 2023년까지 플랫폼 경제에 10조원을 전략적으로 투자할 계획이다.

정부는 데이터와 알고리즘, 컴퓨팅 자원 등 AI 인프라와 AI 원천기술 확보 등을 위한 연구개발(R&D) 지원을 강화했다. 혁신 인재 양성을 위해 카이스트와 고려대, 성균관대 등에 AI 대학원을 설립, 9월에 개원할 예정이다.

공공과 민간의 데이터 수집, 축적을 위한 빅데이터 센터 80곳과 금융, 환경, 문화 미디어, 교통, 헬스케어 등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할 10개 분야를 선정해 운영을 시작한다. 수소 승용차는 연말까지 6358대를 보급할 예정이다. 하반기 중 전국 7개 도시에서 수소버스 35대를 도입하고, 서울에서는 수소택시 10대에 대한 대중교통 시범사업도 추진한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