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비메모리, 미래차, 바이오 등 3대 혁신성장을 비롯한 4차산업혁명 시대 혁신산업의 성장을 국제표준화로 뒷받침하겠다는 전략을 마련했다.

이를 위해 혁신산업 분야에서 2023년까지 국제표준 300건을 제안하고 세계 3대 국제표준화기구(ISO·IEC·ITU) 의장단에 한국 전문가 60명을 진출시키는 내용의 ‘300·60 프로젝트’를 추진키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20일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과기정통부 등 관계부처와 합동으로 ‘4차산업혁명시대 국제표준화선점전략’을 발표했다.

정부는 세계 각국이 벌이는 치열한 표준전쟁에서 승리하고, 혁신산업의 주도권을 잡기 위해 이번 표준화 선점전략을 수립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전략이 달성되면, 전체 국제표준에서 한국의 제안 비중은 현재 12%에서 2023년에는 20%로 증가한다.

현재 한국이 보유한 국제표준화기구 의장단 수는 41명으로 미국·독일·일본 등 국제표준 주도국의 50% 수준이지만, 4년 후에는 이들과 유사한 수준으로 확대된다.

이를 위해 정부는 △범부처 표준정책 거버넌스 강화 △산업정책과 표준연계 강화 △심층기반 표준 확보 △표준화 혁신기반 조성 등 4대 전략, 11개 세부과제를 추진한다.

‘300·60 프로젝트’에 따라 산업부와 표준 관계부처는 표준기술력향상사업과 연구개발(R&D) 사업을 활용해 혁신산업 분야에서 2023년까지 국제표준 300건을 개발할 계획이다.

우선 전기·자율차 분야에서는 자율주행차 긴급대응시스템과 충전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고속 충전시스템(400kW) 등 52건의 국제표준 개발에 나선다. 에너지 분야에서는 수소 제조·저장·계량 표준 및 충전소 안전성 표준과 발전용·건설용·운송용 연료전지 표준 등 국제표준 28건을 개발해 수소경제 활성화와 에너지신산업 육성을 지원한다.

시스템반도체 분야는 진단용 렌즈프리 반도체 센서, 차량용 반도체 전원·센서 등의 성능표준 등 33건의 국제표준을 통해 ‘2030년 종합반도체 강국 도약’을 돕는다.

이밖에 지능형 로봇 18건, 스마트제조 27건, 바이오·헬스 41건, 드론·해양구조물 25건, 스마트시티·홈 23건, 디스플레이 39건, 스마트팜 14건 등 분야별 국제표준 개발 목표를 수립했다.

또 ISO(국제표준화기구), IEC(국제전기기술위원회), ITU(국제전기통신연합) 등 국제표준화기구내 4차산업혁명 분야 기술위원회와 분과위원회 의장, 간사 등 의장단도 현재 41명에서 2023년까지 60명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