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안산, 경남 김해·진주·창원, 경북 포항, 충북 청주 등 6곳이 새로운 연구개발특구 모델인 강소특구로 처음 지정됐다. 이에 따라 오는 2024년까지 1만8600명의 고용창출과 9조3000억원의 매출증대 등 경제적 파급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19일 연구개발특구위원회를 열고 이를 심의 의결했다고 밝혔다. 강소특구는 연구소, 대학 등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한 연구개발 거점을 뜻한다. 이들 특구는 각 지역의 강점분야를 특화분야로 설정하고 전략적으로 진흥을 담당할 예정이다. 

 

기존특구와 차별화 소규모로 지정

경기 안산 강소특구는 한양대(에리카캠퍼스)를 중심으로 ICT(정보통신기술) 융복합 부품 소재 개발에 집중하게 된다. 기술개발(R&D) 거점지구인 한양대 에리카캠퍼스(0.84㎢)와 사업화 촉진지구인 경기테크노파크 등 연구기관(0.18㎢), 사업화 거점지구인 시화MTV 산단(0.71㎢) 등 모두 3개 지구로 구성되며 서해안 제조업벨트의 혁신 거점으로 육성된다.

경남 김해는 인제대를 핵심 기관으로 삼아 의생명·의료기기에 특화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김해는 전국에서 유일한 의생명 강소특구로 의생명·의료기기 기술사업화를 고도화하는 방향으로 육성된다.  

진주와 창원은 각각 경상대와 한국전기연구원을 중심점으로 삼아 항공우주 부품·소재와 전기기계 연구에 나서기로 했다. 진주는 저비용 고효율 항공기용 핵심부품 및 소재를 개발하는 방향으로, 창원은 지능 전기기계 신산업 창출의 거점을 구축하는 방향으로 육성된다.

경북 포항은 포스텍(포항공대)과 포항산업과학연구원을 중심으로 첨단 신소재 개발 연구를 진행키로 했다. 포항은 지역주도형 첨단신소재 중심의 혁신 생태계를 구축하는 방향으로 육성된다. 충북 청주는 충북대가 핵심기관이며 스마트 IT 부품·시스템 분야 연구를 지원한다. 스마트 IT 부품·시스템 거점을 구축하는 방향으로 육성된다.

강소특구는 2017년 12월 발표된 새 R&D 특구 모델이다. 대전 대덕, 광주, 대구, 부산, 전북에 R&D 특구가 지정돼 있지만, 미개발 지역이 발생하고 기관 간 집적·연계 효과가 떨어진다는 한계가 있어, 면적 한도를 20㎢로 정한 소규모 강소특구를 도입했다. 애초 경남 양산도 강소특구 지정을 요청했으나 부지 마련 계획 등을 이유로 이번에는 선정되지 않았다. 다만 이런 사항을 보완하면 재협의할 수 있다는 게 과기정통부의 설명이다.

 

2024년까지 1500개 기업 유치 전망

과기정통부는 “이번에 지정한 6개 강소특구를 공공연구 성과의 기술사업화 활성화를 위한 지역 혁신 거점으로 육성할 계획”이라며 “6개 강소특구에서 2024년까지 1500개 기업 유치, 1만8600명 고용 창출, 9조3000억원 매출 증대 등 직·간접적인 경제적 파급효과가 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특구위원회에는 강소특구 성과종합평가 시행 등 경쟁 시스템을 적용하고 기존 특구와 강소특구 간 연계·협력 구조를 구성한다는 운용 방안도 보고됐다. 

구체적으로 지역에 균등한 강소특구 지정요청 기회를 부여하되 심사과정에서 엄격한 역량평가와 컨설팅을 실시할 방침이다. 또 강소특구 성과종합평가 시행 등 경쟁시스템을 적용하고 엄격한 인센티브 및 패널티 적용을 통해 성과중심 관리를 추진한다. 

이외에도 대덕특구를 중심으로 4개 기존특구와 강소특구간 연계·협력 구조를 구성해 하나의 유기적인 체제로 연결해 효과적인 R&D 특구 추진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