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의 PDP 제품이 후지쓰의 제소로 일본에서 통관이 보류되는 등 국내 기업들이 잇따라 특허분쟁에 휘말리면서 특허관리를 대폭 강화하고 있다.
최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240여명에 달하는 국내 최대의 특허전담조직을 운영하면서 지난해부터는 국내 기업중에서 처음으로 특허사무를 전담하는 변리사를 정식 직원으로 채용해 운영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특허전담조직 강화를 위해 미국 변호사들을 선발해 사업부문별로 운영하는 한편 전담인력을 전문기술직으로 인정해 대리-과장-부장의 일반 관리직급이 아닌 선임-책임-수석의 연구개발 직급을 적용해 우대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특허전담 인력중에서 자체 선발을 통해 변리사 시험 준비, 미국특허변호사 준비, 미국 특허사무소 인턴십 등을 통해 인력 양성에도 주력하고 있다.
LG전자는 각 사업부 소속의 모든 연구소와 연구관련 부서에 특허관련 부서 및 인원을 배치하고 특허부서는 특정 제품의 해외 런칭시 발생할 수 있는 특허관련 분쟁의 소지를 원천봉쇄하기 위해 30여개의 프로젝트 팀을 운영하고 있다.
삼성SDI도 지난해부터 특허관리를 대폭 강화해 사업부문별로 특허 전담팀을 설치, 가동하고 있으며 대우일렉트로닉스는 최근 유기EL사업 진출을 위해 관련 특허 40여개를 보유한 국내 벤처기업인 SDL을 인수했다.
현대·기아차는 특허분쟁 소지를 사전에 없애기 위해 매년 신차개발 과정에서 평균 4천~5천건의 특허출원을 미리 해놓고 있다.
미국이나 유럽 쪽에서 분쟁 조짐이 생길 경우 일단 현지법인을 통해 해결하되 필요할 경우 연구소에서 직접 출장, 상황 해결을 지원하기도 한다.
국내 차업계는 특히 앞으로 줄줄이 신차 출시가 예고돼 있는 만큼 정보 유출을 막기 위해 노트북과 카메라폰 반입을 철저히 통제하는 등 기술연구소 보안에 각별한 신경을 쓰고 있다.
철강업계는 용광로를 사용하는 범용제품 생산 기술은 많이 공개돼 있어 특허관련 분쟁 발생소지가 적지만 향후 기술 도용 등의 가능성에 대비해 제품별·공정별로 세부 기술들에 관한 특허를 보유하고 관리중이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