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정보화사회는 ‘정보혁명’을 요구함과 동시에 ‘시간혁명’을 절실하게 요구하고 재촉한다. 실제로 정보화사회의 한 시간은 과거 농경사회나 산업사회의 수백, 수천 시간에 해당하는 가치를 지니고 있다.

정보화시대 속도가 경쟁력
정보화사회에서는 정보기술과 첨단기술 등을 바탕으로 시간단축이 일어나고 있다. 고도로 발달하고 있는 컴퓨터 기술, 정보통신 기술은 시간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려는 인간의 욕구를 반영한 것이다.
운송기술이 혁신이나 물류시스템의 개선도 ‘보다 빠르게’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이처럼 정보화사회에서는 상대방과의 ‘時間差’에서 경쟁력이 좌우되고 있다. 그런 맥락으로 볼 때 토플러의 빠른 자와 느린 자의 개념은 국가, 기업, 개인에게 모두 적용되는 개념일 것이다.
예를 들어 국가의 경우, 이 개념에 입각해 고속국가와 저속국가로 나눠 볼 수가 있다. 고속국가란 외부의 환경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할 수 있는 기동성을 갖춘 나라를 의미한다.
‘빠른’ 경제체제를 가진 나라는 가속적이고 역동적인 부(富) 생산기계(wealth machine)를 거대한 권력의 원천이자 경제발전의 원천으로 삼고 있는데 반해 저개발국들은 그렇지 못하다. 이는 두 나라들 간의 원활한 강제 교류를 맞는 장벽으로도 사용하고 있다. 세계의 주된 창출체제의 회전속도가 빨라지면, 판매하고자 하는 나라는 구매하고자 하는 나라와 같은 속도로 경제를 운영해야 한다.
이것은 느린 경제가 중추신경 반응을 빠르게 하지 않으면 제약과 투자를 빼앗겨 경쟁에서 완전히 밀려나게 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빠른 나라와 느린 나라의 합작사업의 실패율이 높은 또 다른 이유중에 하나는 문학적, 기술적인 만리장성이 있으며 저속 국가의 납품업체가 약속된 기일을 맞추지 못해 계약이 파기되는 경우가 많다. 이 두 세계간의 경제생활 속도의 차이가 문화적 잡음을 일으킨다. 저속국가의 공무원은 보통 고속국가측 상대방이 시간을 매우 중요시한다는 것을 이해하지 못하며 시간이 왜 그처럼 중요한지도 이해하지 못한다. 속도를 내라는 것은 불합리하며 오만한 요구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고속국가의 합작선에게는 속도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다.

질주하는 글로벌기업 발목잡지 말아야
그렇다면 우리나라는 어느 유형에 속할까? 그동안 많은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높은 경제 성장과 사회적 발전을 지속해 온 것은 우리나라가 고속국가에 속해 있었기 때문이다. ‘일하면서 싸우고 싸우면서 일한다’, ‘빨리 빨리’, ‘속도전’ 등의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빨리 움직이는 것을 기본 행동지침으로 삼았던 것이다. 이와 함께 밤낮을 가리지 않고 일해 온 근면·성실함과 높은 교육열이 사회발전의 원동력이 됐다. 그리고 이제는 실용화된 디지털 기반이 효과를 내기 시작했다.
총선이 끝난 후 경제를 살리고 국가 경쟁력을 높이고자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가장 시급한 과제는 무엇일까? 그것은 우리의 생산적인 속도를 방해하는 요소들이다. 지나치게 몸을 사리는 공무원, 이념에 몰입된 정치인, 갈등과 투쟁을 선동하는 세력, 허무주의에 빠진 경영자 이런 사람들이 속도를 죽이는 사람들이다.
이제 우리사회 곳곳에 존재하는 시간지체 요인을 슬기롭게 제거하는 것이 진짜 개혁과제가 아닐까!

윤 은 기
IBS컨설팅그룹 대표·서울과학종합대학원 부총장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