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연구원과 한국노동연구원이 공동 주최하고 중소기업중앙회가 후원한 ‘중소기업 노동생산성 향상 정책토론회’가 지난 20일 서울 여의도 중기중앙회에서 열렸다.
중소기업연구원과 한국노동연구원이 공동 주최하고 중소기업중앙회가 후원한 ‘중소기업 노동생산성 향상 정책토론회’가 지난 20일 서울 여의도 중기중앙회에서 열렸다.

우리나라 10인 미만 제조 중소기업의 노동생산성이 대기업의 8분의1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이같은 생산성 격차를 극복하기 위해 대·중소기업간 상생협력에 대한 조세지원확대 등 정부의 지원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중소기업연구원과 한국노동연구원이 지난 20일 서울 여의도 중기중앙회에서 공동 주최한 중소기업 노동생산성 향상 정책토론회에서 노민선 중기연구원 연구위원은 대중소기업간 노동생산성 향상을 위한 상생협력 활성화 방안주제발표에서 이같이 밝혔다.

노 연구위원에 따르면 제조업 부문 500인 이상 대기업의 노동생산성(2013~2017)100이라 볼 때 1~9인 영세 제조기업은 12.4%에 불과했다. 10~49인은 21.7%, 50~99인은 29.4%, 100~499인은 42.6%였다.

노 연구위원은 대·중소 제조업체 간 노동생산성 격차가 일본에 비해서도 높게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2016년 기준 우리나라의 10~49인 제조기업의 노동생산성은 500인 이상 기업 대비 23.7% 수준이었다.

이는 500인 이상 기업 대비 31.6%의 노동생산성을 보이는 일본보다 낮은 수치다. 100~499인 기업의 경우 우리나라는 500인 이상 제조업체 대비 45.1%의 노동생산성을 보였지만 일본은 65.5%의 수준을 나타냈다.

노 연구위원은 이에 따라 중소기업의 노동생산성 향상을 위해 대·중소기업 간, 중소기업 노사간, 중소기업과 대학 간의 상생협력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중소기업 상생협력에 대한 조세지원 확대, 중소기업 사업주·근로자 간 성과공유제 확산을 위해 범부처간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노세리 한국노동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중소기업 생산성 향상을 위한 일터혁신이란 주제발표를 통해 정부가 중심이 돼 중소기업의 자생력 강화방안을 마련해야 한다현재 일터혁신 정책의 방향성을 작업조직 중심의 통합적 접근을 추구하고 일자리의 질 개선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전개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이후 조준모 성균관대 교수의 사회로 진행된 토론에 김동배 인천대 교수, 이의현 한국금속공업협동조합 이사장, 이태희 중기중앙회 스마트일자리본부장, 정문주 한국노총 정책본부장이 참석해 중소기업 노동생산성 향상을 위한 의견을 나눴다.

김동열 중기연구원장은 인사말을 통해 중소기업 노동생산성 향상은 종업원을 줄이는 것이 아니라 부가가치를 높이는 형태로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면서 중소기업 노사가 경영환경 변화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노동생산성 향상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