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전역의 반()중국 시위가 장기화하면서 한국 수출이 악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홍콩을 거쳐 중국으로 가는 재수출이 타격을 입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지난달 27일 내놓은 홍콩 시위 장기화에 따른 우리 수출 영향보고서에서 홍콩의 범죄인 인도법안’(송환법) 반대 시위가 12주째 이어지면서 한국 수출에도 타격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지난해 기준 한국의 대()홍콩 수출액은 460억달러(56조원)로 중국, 미국, 베트남 다음으로 컸다.

업종별로 보면 한국의 대홍콩 수출 중 반도체가 73.0%로 압도적이었고, 이 중에서도 메모리반도체가 63.3%를 차지했다. 컴퓨터 3.4%, 화장품 2.9%, 석유제품 2.7%, 석유화학제품 2.4%가 뒤를 이었다.

홍콩으로의 수출 비중이 큰 것은 홍콩이 대중국 수출의 중요한 우회지이기 때문이다. 지난해 홍콩이 수입한 한국 제품 중 82.6%가 중국으로 재수출됐다.

금액 기준으로는 홍콩이 한국으로부터 수입한 약 355억달러 중 재수출한 금액이 334억달러(94.0%)에 달했고, 재수출 금액 중 82.6%에 해당하는 293억달러가 중국으로 갔다.

보고서는 한국의 대홍콩 수출 중 상당수가 중국으로 재수출되고 있어서 홍콩과 본토 간 갈등이 격화하면 홍콩 경유 대중국 수출이 피해를 볼 수밖에 없다특히 반도체 업종에서 더욱 영향이 크게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해 홍콩에서 재수출한 상품 중 한국을 원산지로 하는 제품의 비중은 6.4%로 중국 본토(57.1%), 대만(9.7%) 제품 다음으로 컸다. 일본은 4.8%, 말레이시아는 3.3%, 미국은 3.1%, 인도와 태국은 각 1.8%였다. 한국은 다른 나라보다 홍콩을 경유한 재수출 비중이 높아서 홍콩 시위의 영향을 더욱 민감하게 받을 수 있다.

홍콩을 경유한 수출의 장점은 세계 3위 금융허브의 이점을 활용한 자금 조달, 무관세 혜택 및 낮은 법인세, 중국과의 직접거래에 따른 법적·제도적 위험 완화 등이다.

국제무역연구원은 홍콩 탄압에 대한 서구권의 반발이 미중 무역갈등과 연계될 경우 세계무역의 불확실성이 증폭될 수 있다이 경우 반도체 가격 급락, 미중 무역갈등과 이에 따른 중국 수요 부진, 일본 수출규제로 이미 어려움에 빠진 한국 수출의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