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 근로 일자리 동향’…정부 재정 투입, 보건·사회복지분야 급증
건설·제조업은 감소, 온라인 쇼핑 확산따라 도소매 일자리도 증가

 

올해 1분기 임금 근로 일자리가 50만개 이상 늘었지만 이중 절반 이상은 정부 재정 등으로 만든 노인 일자리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6일 통계청의 임금근로 일자리 동향자료에 따르면 올 1분기 임금 근로 일자리는 18248000개로, 전년 동기보다 503000(2.8%) 늘었다.

증가분은 20172분기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래 가장 컸다.

 

보건·사회복지서 17만개 늘어

전체 일자리 증가분을 산업별로 보면 보건·사회복지가 173000개로 규모가 가장 크다. 도소매가 86000개로 그 뒤를 이었다. 공공행정(73000), 교육(51000)도 증가했다. 건설업, 사업·임대, 제조업에서는 각각 56000, 42000, 2만개씩 감소했다.

사업·임대 일자리는 사업시설관리, 조경서비스, 청소용역 등 사업지원 서비스를 아우르는 것이다.

정부의 직접고용 장려 정책으로 기존의 청소·조경용역이 해당 기업에 직접 고용되면서 사업·임대 일자리가 줄어들었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산업별 일자리를 중분류로 쪼개 들여다보면 사회복지 서비스업이 13만개 늘었고 공공행정과 교육 일자리가 각각 73000, 51000개 늘었다. 반면 전문직별 공사업은 54000, 사업지원 서비스는 28000개 줄었다.

박진우 통계청 행정통계과장은 제조업 중에서는 자동차, 섬유, 전자통신 등 분야 상황이 특히 나쁘다면서 사업·임대에는 청소·용역 등 시설 관리나 인력 공급업 등 지원 관련 일자리도 포함돼있다. 제조업과 건설업 경기가 나쁘면서 시설 관리 및 인력 공급 수요가 줄어 사업·임대 일자리도 줄었다고 분석했다.

 

40대 일자리 2만개 감소

연령별로 보면 60대 이상 임금 근로 일자리가 282000개 증가해 1분기에 늘어난 일자리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50대 일자리는 187000개 늘었고 20대 이하는 39000, 30대는 15000개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40대 일자리는 오히려 2만개 감소했다.

60대 이상 연령층의 일자리가 많이 늘어난 것은 정부 재정 일자리 사업의 효과로 풀이된다.

60대 이상의 산업별 일자리 증감을 보면 보건·사회복지 일자리가 98000개 증가했고 공공행정 일자리도 25000개 늘었다.

재정 일자리 사업은 통상 보건·사회복지와 공공행정 분야로 분류된다.

시민단체와 노동조합 등을 아우르는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 분야 일자리도 33000개 증가했다.

반면, 40대의 경우 건설업 일자리가 32000, 제조업과 사업 임대는 각 25000개와 1만개 줄면서 전체 일자리가 2만개 감소했다.

 

고용보험 가입 확대 정책 영향

1분기 일자리가 증가한 또 다른 원인으로는 고용보험 가입확대 정책과 온라인 쇼핑 증가 속 도소매업을 중심으로 한 일자리 증가가 꼽힌다.

성별로 나누면 올 1분기에 여성 일자리가 367000, 남성 일자리가 136000개 증가했다. 전체 일자리 가운데서는 남성이 58.6%, 여성이 41.4%로 여전히 남성 비중이 컸다.

근로자가 지난해 1분기와 같은 자리를 지킨 지속일자리는 12354000개로 전체의 67.7%였다. 퇴직이나 이직으로 근로자가 대체된 일자리는 3072000(16.8%), 기업체 생성으로 생긴 신규 일자리는 2823000(15.5)였다. 사업 축소 등으로 아예 사라진 소멸 일자리는 232만개였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