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나라 황제 옹정제는 천하를 다스리는 일의 근본은 용인이며 나머지는 모두 말단이다라고 말했다. 전국시대 말기 최고의 학자로 꼽히는 순자도 임금의 도는 사람을 잘 알아보는 것이고, 신하의 도는 일을 잘 아는 것이다라고 했다.

군주는 탁월한 인재를 찾아서 등용하는 것이 주된 일이고, 신하는 임금을 보필해서 맡은 일을 잘 해내는 것이 책임이라는 의미이다. 여기서 신하란 주로 군주를 바로 보필하는 재상들을 말한다. 순 황제 시대의 고요나 탕 임금 시대의 이윤, 제환공의 관중이 가장 뛰어난 재상으로 꼽힌다.

고전에서는 주로 이들 군주와 재상, 혹은 장수들의 자질과 도리가 많이 실려 있다. 이들의 인품과 능력이 훌륭하다면 나라를 잘 이끌 수 있고, 그렇지 못하면 나라를 보존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하지만 오늘날의 현실에서 보면 조직의 성패가 반드시 이들 최고위층에게만 달려 있는 것은 아니다.

물론 뛰어난 리더들이 조직을 잘 이끌고 발전시켜나가는 것은 당연하지만, 이들을 보좌하는 중간관리자들의 자질과 능력 또한 못지않게 중요하다. 조직에서 상하 간을 잇는 연결고리의 역할을 하고, 개별의 사업을 맡아서 추진하는 일을 결코 소홀히 여겨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고전에 실려 있는 몇 가지 글을 보고 중간관리자들의 소임과 자질에 대해 생각해보자. 먼저 <근사록>에 실려 있는 글이다. 명도선생이라고 불리는 정호가 극기편에서 했던 말이다.

윗사람의 탓을 하고 아랫사람 탓만 하면서 중간에 있는 자신에게만 관대하다면 어찌 직분을 다하겠는가(責上責下 而中自恕己 豈可任職分)?”

사람들은 누구나 자신에게는 관대하고 다른 사람에게는 엄격한 성향이 있다. 그래서 많은 고전에서 이를 경계하고 있는데, <근사록>에 실려 있는 글은 여기서 한 걸음 더 나간다. 자신의 잘못을 돌아보기는커녕 일이 잘못된 것을 모두 남의 탓으로 돌리고, 심지어 윗사람, 아랫사람을 가리지 않는다.

윗사람은 방향을 잘못 제시했고, 아랫사람은 일을 제대로 하지 못했다고 탓을 하는 것이다. 이런 사람들의 문제는 단순히 책임감이 없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조직의 조화를 깨뜨리는 데 있다. 당연히 일도 제대로 처리될 수 없을 것이다. 책임을 맡은 사람이라면 그 일에 대해 가장 무겁게 책임을 질 수 있어야 한다.

<논어> ‘태백에 실려 있는 그 직위에 있지 않다면 그 직위에서 담당해야 할 일을 꾀하지 말아야 한다(不在其位 不謨其政)”는 자기 본분을 저버리고 월권을 하는 사람을 꾸짖는 말이다. 주로 상사의 신임을 받는 사람, 혹은 권력자의 친인척인 사람들이 많이 보이는 모습이다. 이들이 주로 관심을 가지는 분야는 이권이 생기는 일이다. 혹은 생색을 낼 수 있을 때이다. 어떤 이유에서건 다른 사람이 맡아서 할 일에 관여한다면 그 일이 제대로 될 수 없다. 심지어 이런 사람들은 대부분 자기 일에는 무능력하다. 자기 일에 최선을 다하는 사람이라면 다른 일에 관여할 시간이 없다.

마지막으로 역시 태백에 실린 글이다. “뜻은 크면서 정직하지 않고, 무지하면서 성실하지 않으며, 무능하면서 신의도 없다면, 그런 사람은 내가 알 바 아니다.”

뜻은 큰데 정직하지 않다면 부정을 저지르게 된다. 무지하면서 성실하지 않다면 발전이 없다. 무능하면서 신의도 없다면 어떤 일도 제대로 해낼 수 없다. 공자는 이런 사람은 상대할 가치조차 없다고 말하고 있다. 안타깝지만 조직에서 쓸모없는 유형이다.

 

- 조윤제천년의 내공저자

- 일러스트레이션 최진영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