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글로벌 공급망 확대로 영향 심화…공업제품이 상승률 하락 주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나타난 세계적인 저물가 추세가 우리나라 물가상승률을 낮추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0133분기를 기점으로 그 영향력은 커졌다는 분석이다.

지난 1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글로벌 요인의 인플레이션에 대한 영향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추세 인플레이션에 대한 글로벌 요인의 영향력이 20133분기를 전후로 확대되고, 상관관계도 커진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연구팀이 20012분기~20191분기까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21개국을 대상으로 글로벌 차원의 구조적 요인이 각 개별국 인플레이션의 추세적 흐름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다.

우리나라의 추세 인플레이션은 글로벌 추세에 따라 금융위기 이후 지속 하락했다. 2001~2008년 글로벌 추세 인플레이션은 평균 2.0%에서 2011~20181.4%로 떨어졌고 같은기간 우리나라의 추세 물가상승률도 2.5%에서 1.7%로 떨어졌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나타난 세계적인 저물가 추세가 우리나라 물가상승률을 낮추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나타난 세계적인 저물가 추세가 우리나라 물가상승률을 낮추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인구 고령화, 온라인 거래 확산, 글로벌화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전세계 물가상승률이 추세적으로 떨어졌고, 우리나라도 이에 영향을 받았다는 것이다. 글로벌 요인이 각국의 추세적인 물가상승률에 얼마나 영향을 미쳤는지를 나타내는 요인부하값(-1~1사이)을 보면 우리나라의 경우 0.85로 높게 나타났다. 요인부하값이 높을 수록 글로벌 요인의 영향이 크다는 의미다.

김병국 한은 물가동향팀 차장은 글로벌 요인의 영향은 각국의 GVC(글로벌 가치사슬) 참여도 등 대외 연계성이 높을 수록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공급망 참여도가 높은 우리나라의 경우 다른 국가들보다 글로벌 요인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는 것이다. 당시 장기 저물가를 지속하던 일본 등은 글로벌 인플레이션 흐름과는 무관하게 움직였다.

특히 20133분기를 기점으로 우리나라 추세 물가에 대한 글로벌 영향력은 커졌다는 분석이다. 연구팀이 좀 더 체계적으로 물가 흐름을 살펴보기 위해 조사 대상국을 10곳으로 추려 요인부하값을 재추정한 결과 20012분기~20132분기까지 우리나라의 요인부하값은 0.61 정도였으나 전 기간을 대상으로 했을 때 0.92로 높게 나타났다.

글로벌 요인의 영향력은 국내 상품과 서비스 부문 등 소비자물가 전부문에서 확대됐다. 그중에서도 가공식품과 석유류 가격 등 공업제품을 중심으로 영향력이 크게 파급된 것으로 나타났다. 공업제품 가격 등이 크게 낮아진게 우리나라 물가상승률을 끌어내리는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설명이다.

연구팀은 국제유가가 낮은 수준을 유지한 가운데 주요 소비재 수출국인 중국의 생산자물가, 수출단가 약세 등이 국내 물가의 하방압력으로 작용했다글로벌 요인이 물가상승률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해왔고 그 정도는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우리나라 물가상승률은 일시적 요인의 영향으로 추세를 크게 하회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의 이례적으로 낮은 물가상승률이 지속될 것으로 보긴 어렵다며 물가상승률 반등을 전망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상승률은 전년동월대비 0.4% 하락해 사상 첫 마이너스 물가를 기록한 바 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