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중앙회 조사, 전문인력 부족 등 애로 호소…‘잘하고 있다’ 12.7% 불과

중소기업 10곳 중 8곳은 4차산업혁명 대응과 관련, 준비 계획조차 세우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가 최근 중소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중소제조업 4차산업혁명 대응 실태조사결과, 4차산업혁명 대응준비 수준에 대해 응답업체의 79.7%준비계획이 없다고 답했다. 반면 ‘2~3년 내에 마련할 계획이거나 계획을 마련중에 있다는 업체는 각각 10.0%, 7.3%였으며 수립된 계획에 따라 진행하고 있다는 업체는 3.0%에 그쳤다.

4차산업혁명에 대해서는 36.3%알고 있는 편이라고 답했으며 이는 2017년 조사당시 39.5%보다 낮아진 수치다. 다만 디지털 전환의 체감과 관련, ‘느껴지는 편이라는 응답은 43.0%201735.7% 보다 높아졌다.

중소기업은 4차산업혁명이 생산에 가장 큰 영향(29.3%)을 미치고 생산성 향상이 가장 중요한 목표(55.7%)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으며 응답업체의 50.6%4차산업혁명이 기회이자 위기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었다.

중소기업이 4차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어려운 이유로는 전문(대응)인력부족이 28.7%로 가장 높았으며 투자대비 효과 불확실(28.3%), 투자자금 부족(27.7%), 4차산업혁명 등 교육부족(19.3%) 등 순으로 조사됐다.

 

4차산업혁명 대응수준은 1단계

한편 제조현장 대응실태 및 개선과제와 관련해서는 현재 중소기업의 4차산업혁명 대응수준은 대부분 4차산업혁명의 의미와 관련 기술만 알고 있는 1단계(25.0%)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물인터넷(IoT)과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인공지능(AI) 4차산업혁명 주요 기술을 도입했다는 기업은 전체의 16%에 그쳤으며 33%가 향후 활용예정인 것으로 조사됐다.

향후 5년내 대응목표 수준은 1단계 21%, 2단계 15.7%, 3단계 13.3% 등 순이었다.

제조 데이터의 수집·분석·활용을 위해 클라우드·빅데이터 기술 도입목적에 대해선 응답 기업 54.2%가 효율성 증대가 기대된다고 답했다. 이어 생산성 및 정보공유 증대(48.2%), 비용절감(28.9%), 신규 수익원 및 서비스 창출 확대(24.1%)등 순으로 조사됐다.

다만 비용부담(38.2%), 전담·운용인력 등 조직역량 부족(30.5%)등이 걸림돌로 나타났다.

제조현장에서 가장 우선 개선돼야 할 사항으로는 현장인력 부족(34.0%), 생산설비 노후화(27.3%), 시스템 도입 및 관리(24.3%) 등을 꼽았다.

 

중소기업 맞춤형 컨설팅 지원해야

정부의 4차산업혁명 정책 관련해서는 잘하고 있다고 답한 비율은 12.7%에 불과했다.

정부 정책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가장 많은 72.0%중소기업의 현실을 고려한 정책 부재를 꼽았다. 선진국과의 기술격차 해소 전략 부재(14.3%), 모호한 정책 목표(13.7%), 부처·기관 간 협력체계 미비(12.7%) 등도 뒤를 이었다.

정부가 중소기업의 4차산업혁명 대응을 위해 추진해야 할 과제로는 중소기업 맞춤형 컨설팅 지원53.7%로 가장 많았다. 투자·연구자금 관련 세제 혜택 지원(36.3%), 인재양성 및 근로자 재교육 지원(26.7%), 신기술과 시스템, 설비 지원 확대(18.7%), 스마트공장 보급 확대 및 고도화 지원(14.0%) 등 순으로 나타났다.

정욱조 중기중앙회 혁신성장본부장은 정부가 4차산업혁명 대응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실시하고 있지만, 중소기업 현장의 인식과 대응 수준은 기대에 못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전문·운용인력, 투자역량 부족 등 중소기업의 애로를 보완할 수 있는 정책 및 사업과 4차산업혁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고 대응할 수 있는 다양한 사례가 발굴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