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硏, 전문가 설문 … AI 인력 부족률 60.6% 달해

글로벌 인공지능(AI)시장에서 인재확보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는 가운데 국내 AI 인력 부족률이 60.6%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우리나라 AI 인재 경쟁력 또한 미국의 절반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 관련 규제 완화와 AI 생태계 조성 등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최근 국내 산업계, 학계, 연구원의 AI 관련 전문가 30명을 대상으로 ‘AI 인재 현황 및 육성방안에 대해 조사한 결과, AI 산업을 선도하는 미국의 AI 인재 경쟁력을 10으로 볼 때 한··3국의 AI 인재 경쟁력 수준은 중국 8.1, 일본 6.0, 한국 5.2로 평가됐다고 밝혔다.

한경연은 한국의 AI 인재 경쟁력이 미국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고 정부가 대규모 투자를 추진하는 중국과도 상당한 격차가 있다국내에도 관련 인력이 배출되지만 대부분 국내에 머물지 않고 미국, 유럽, 중국행을 택하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국내 AI 인력 부족률이 평균 60.6%에 달한다고 답했다. 개별 응답률을 보면 20.7%‘5059%’라고 답했고, ‘7079%’·‘30~39%’라는 답이 각각 17.3%로 나타났다.

AI 전문 인력 양성 및 확보 방안으로는 국내외 AI ·박사 채용’(89.3%·복수응답)이 가장 많았고 재직자 AI 교육’(75.0%), ‘대학 연계 프로그램 개발’(46.4%)이라는 답이 뒤를 이었다. 국내외 AI 기업을 인수하거나 해외연구소 설립·인수라는 답도 각각 17.9% 나왔다.

한경연은 자체 조사 결과 아마존, 구글 등 글로벌 기업과 삼성전자, 네이버 등 국내 주요 대기업 모두 즉시 협업 가능한 연구진을 보유한 AI 기업을 인수하거나 해외연구소 설립 등을 통해 AI 인력을 확보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또 산학 협력을 통해 대학의 우수한 AI 인재를 확보하고 사내 재교육을 통해 인재를 발굴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AI 인력을 확보하는 데 가장 큰 애로 요인으로는 실무형 기술인력 부족’(36.7%)을 가장 많이 지적했고 이어 선진국 수준의 연봉 지급 어려움’(25.5%), ‘전문 교육기관 및 교수부족’(22.2%) 순으로 응답했다. ‘근로시간 등 경직된 근무환경 및 조직문화’(6.7%), ‘예산지원, 규제 완화 등 정부 지원 부족’(6.7%) 등도 애로 요인으로 꼽혔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