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달마다 0.1%P씩 하향조정…미·유로존 0.1%P↓, 인도 1.2%P↓, 중국 0.2%P↑

글로벌 경제가 바닥을 치고 반등 흐름을 타고 있지만 회복세는 예상보다 더딜 것으로 국제통화기금(IMF)이 전망했다.

IMF는 20일(현지시간) 스위스 다보스포럼에서 발표한 '세계 경제 전망'(World Economic Outlook)에서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로 3.3%를 제시했다.

석 달 전에 제시한 전망치보다 0.1%포인트 낮아진 수치다.

IMF는 2020년 성장 전망치를 3.6%(지난해 4월), 3.5%(지난해 7월), 3.4%(지난해 10월) 등으로 꾸준히 하향 조정했다.

IMF는 내년도 성장 전망치도 3.6%에서 3.4%로 0.2%포인트 내려 잡았다.

[연합뉴스 제공]
[연합뉴스 제공]

글로벌 성장세가 2018년 3.6%에서 지난해 2.9%로 꺾였다가 올해부터 반등을 시도하겠지만, 회복 강도에선 갈수록 부정적인 전망이 강해지는 셈이다.

보고서에는 '잠정적인 안정화, 부진한 회복'이라는 제목을 달았다. 긍정적인 평가와 부정적인 우려를 동시에 반영한 것이다.

블룸버그통신은 "이번 전망에는 약간의 희망이 담겨있다"고 평가했다.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는 기자회견에서 "글로벌 성장세는 여전히 부진하다"면서 "우리는 아직 터닝포인트에 도달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기타 고피나스 수석이코노미스트도 "글로벌 성장세가 안정화하는 잠정적인 신호가 있지만 경제전망은 부진하고 더욱 강력한 다자적 협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미국의 올해 성장 전망치는 2.1%에서 2.0%로 0.1%포인트 내려갔다. 내년 전망치는 기존 1.7%로 유지됐다. 2018년 2.9%에서 지난해 2.3%, 올해 2.0%로 성장세가 지속해서 둔화하고 내년엔 2%를 밑돌 것이라는 분석이다.

유로존의 올해 성장전망치도 1.4%에서 1.3%로 0.1%포인트 낮췄고, 일본은 0.5%에서 0.7%로 0.2%포인트 높였다.

선진경제권(-0.1%포인트)보다 신흥개도국(-0.2%포인트)의 성장전망치를 더 큰 폭으로 낮췄다.

중국의 올해 성장전망치는 6.0%로 석 달 전보다 0.2%포인트 상향 조정했다. 지난해 6.1%에 이어 올해도 중국 정부의 '6.0∼6.5%' 성장목표를 간신히 달성할 수 있다는 의미다.

브라질은 2.0%에서 2.2%로 0.2%포인트 높이고, 멕시코는 1.3%에서 1.0%로 0.3%포인트 낮췄다. 러시아에 대해선 기존과 같은 1.9% 전망치를 유지했다.

문제는 인도다. 인도의 올해 성장전망치를 7.0%에서 5.8%로 무려 1.2%포인트 깎았다. 인도 경제는 지난해부터 소비 위축, 유동성 악화, 투자 부진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는 이번에 포함되지 않았다.

IMF는 "인도를 중심으로 일부 신흥시장의 경제활동에 대한 부정적인 측면을 반영해 성장 전망을 하향 조정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제조업 및 무역 활동이 바닥에서 벗어나는 신호가 있는 데다, 각국 통화 당국이 완화적인 정책 기조를 유지하고 있고, 미·중 1단계 무역협상이 마무리됐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했다.

특히 통화완화 정책이 없었다면, 지난해와 올해 성장세는 각각 0.5%포인트 낮아졌을 것으로 IMF는 분석했다. 완화적인 통화·재정 정책으로 성장 효과를 누린 국가로는 미국과 중국, 한국을 꼽았다.

무역갈등이 올해 글로벌 성장률에 미치는 부정적인 효과는 0.8%포인트에서 0.5%포인트로 낮춰 잡았다. 미·중이 최근 1단계 무역합의문에 서명하면서 무역전쟁이 다소 완화한 흐름을 반영한 것이다.

다만 미중 무역갈등의 추이를 지켜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고피나스 이코노미스트는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서 "무역 긴장으로 다시 돌아간다면 최근 들어 줄어든 정책적 불확실성은 다시 커질 것"이라며 "조금 지켜봐야 한다"고 신중한 입장을 밝혔다.

글로벌 경제의 리스크 요인으로는 ▲미국-이란 충돌에 따른 지정학적 긴장 ▲미국과 주요 교역국 간 관세 갈등 ▲기후변화에 따른 재난재해 등을 꼽았다.

정책적 오류가 아직 미약한 글로벌 경제를 더욱 취약하게 만들 수 있다면서 다자간 정책적 협조, 적극적인 재정정책 등을 강조했다.

전 세계 교역량 증가율은 2.9%로 기존보다 0.3%포인트 낮춰 잡았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