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27년까지 2133억원을 투입해 '초소형위성 군집시스템'을 개발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재난재해 등 국가 위기상황에서의 대응력 강화를 위해, 100kg 미만의 초소형위성 11기를 개발하고 군집 운영하여 한반도 지역의 위성영상 정보 획득주기를 대폭 단축할 계획이라고 11일 밝혔다.

'초소형위성 군집시스템' 개발사업은 자력발사를 목표로 저비용 위성을 다수 개발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국가위성인 '다목적실용위성'(중대형급: 약 1.5톤) 및 '차세대중형위성'(중형급: 약 500kg)과는 차별화된다.

초소형위성은 경량‧저전력‧저비용 개념의 설계와 3년 임무수명을 고려한 상용부품을 사용해, 광학해상도 1m이하 초소형위성 1기를 2024년에 우선 개발‧발사한 후, 후속위성 10기는 2026~2027년에 걸쳐 각각 5기씩 개발‧발사한다.

또 국제무기거래규정(ITAR)에 저촉되지 않게 개발함으로써, 2021년 본발사를 목표로 개발 중인 한국형발사체(누리호)를 통해 나로우주센터(고흥)에서 자력 발사할 계획이다.

국내 우주산업 활성화를 위해, 산업체 주도로 위성체를 개발하고, 산업체가 주관연구기관에 공모하는 경우 선정평가에서 가점을 부여하는 등 민간 참여가 확대된 개발체계를 적용한다.

아울러, 위성개발 경험을 보유한 연구기관을 기술관리기관으로 지정해 산업체가 안정적으로 위성체를 개발할 수 있도록 기술을 지원한다.

한편, 위성 군집운용으로 획득하는 위성영상 정보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지형공간 정보 DB구축, AI활용 관심정보 탐지 및 변이검출 등 분석 기술 등 활용기술 개발과 함께 2024년 발사되는 1호기의 영상에 대한 검/보정 기술개발도 병행한다.

주관연구기관은 17일부터 30일간, 산업체와 연구기관 대상의 공모를 통해 선정되며, 4월부터 개발에 본격 착수한다. 세부사항은 한국연구재단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권현준 과기정통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국가 최초의 군집형 초소형위성 개발‧활용을 통해, 재난재해 대응 등 더욱 고도화된 국가 위기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라면서, “우리 땅에서 우리가 만든 위성을 우리 발사체로 자력 발사하여 활용하는 사업이므로, 초소형위성 산업뿐만 아니라 전 방위적 우주산업 육성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