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硏, 제조·도소매업 신기술 활용현황 분석, 실행방안 제시

정부의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지원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소상공인의 디지털 전환 수용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기웅 중소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9소상공인의 디지털 전환 연착륙을 위한 실행방안에 관한 연구결과(중소기업포커스 제20-04)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소상공인의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현황과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기 위한 정부 정책 현황을 살펴보고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지원 정책 실행방안을 제언하고 있다.

김 연구위원은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로 인해 시대적 프레임이 격변하고 있지만 국민 경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소상공인은 이에 대한 대응이 미흡하다는 점에 주목했다.

김 연구위원은 소상공인은 영세화 및 경쟁 심화로 생존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생존 역량 제고를 위해서는 디지털 전환과 같은 신기술 채용으로 고객과 시장을 확대하는 시도가 필요하나 소상공인의 디지털 전환 수용에 대한 현 수준이 매우 낮다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에 대해서는 스마트공장(smart factory)이 정부의 대표 정책수단으로 자리매김한 만큼 소상공인에 대해서도 정책 조응이 시급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중기연구원은 소상공인 주요 업종인 제조업, 도소매업, 숙박음식점업의 디지털 전환 관련 신기술 활용 현황과 소상공인의 디지털 전환 의식 및 행동 수준을 분석해 정책의 실행방안을 제언했다.

2019년 기준으로 소상공인은 디지털 전환에 대한 의식 및 행동 수준에 있어 5점 척도 기준으로 보통 이하로 나타나 부정적이었으며, 소상인은 소공인보다 디지털 전환에 대한 의식이 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도 제조업 소공인보다 도소매업과 숙박음식점업 소상인의 디지털 전환에 대한 의식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소상공인에 대한 디지털 전환 수용성 제고 및 맞춤형 핀셋 지원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정책 목표 수립 및 모니터링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지원 공급체계 관리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지원 지속가능성 확보의 4가지 실행방안을 제안했다.

김 연구위원은 소상공인의 디지털 전환 인식 및 디지털 리터러시(literacy) 제고가 우선돼야 한다디지털 전환이 기회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신생 벤처기업에 의한 기존 산업의 디지털 전환이 아닌 소상공인의 비즈니스모델을 개발하고 소상공인만의 콘텐츠 영역을 고민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