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보고서 “국내소비 둔화 등 부정적 영향 가중”

코로나19로 충격을 받은 국내 금융시장의 회복속도가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등 다른 감염병 사태에 비해 느린 것으로 평가됐다.

한은은 지난 12일 공개한 통화신용정책 보고서를 통해 코로나19의 영향에 대해 이같이 분석했다.

보고서는 코로나19의 세계보건기구(WHO) 최초 상황 보고 발표일인 지난 121일을 기준으로 다른 유행 감염병과 국내 금융시장의 단기 반응을 비교했다.

주가와 장기시장금리는 모두 큰 폭으로 하락했는데, 반응 정도는 이번이 사스(SARS)·신종플루·메르스 때보다 큰 편이었다.

회복도 더딘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감염병 때는 대부분 13거래일 이내에 직전 수준을 회복했지만, 지금은 3월 들어서도 이전 수준을 크게 하회하고 있다.

외국인은 지난달 말까지 54000억원 규모의 국내 주식을 순매도했지만, 현물 채권투자를 37000억원 규모로 확대하는 모습을 보였다.

회사채 시장은 코로나19 확산 이후에도 신용 경계감에 큰 변화가 없는 모습을 나타냈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보고서는 시장 심리가 취약해져 작은 충격에도 금융시장이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보고서는 실물경제 측면에서 코로나19가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다른 감염병 사태 때보다 부정적 영향이 더 클 것으로 예상했다.

내수는 문화·여가·외식 등 서비스를 중심으로 국내 소비가 상당 폭 둔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과거와 비교해 온라인쇼핑 등이 많이 늘어난 점은 오프라인 부진을 일부 상쇄할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만약 상황이 호전되면 재화 소비는 비교적 빠르게 회복할 것으로 내다봤다.

서비스교역 측면에서는 중국인 관광객을 중심으로 외국인 관광객이 줄어 서비스 수출이 줄어들고, 내국인 해외여행 감소로 서비스 수입과 민간 수입도 위축된다고 봤다.

재화 교역과 관련해선 대 중국뿐 아니라 다른 국가로의 재화 수출이 영향을 받게 된다고 설명했다. 현재 화공품·석유제품 등 중국 수출 비중이 높은 품목으로 부정적 영향이 나타나고 있다.

보고서는 중국 내 생산기반 회복이 지연된다면 글로벌 공급망(GVC) 교란에 따라 국내 제조업 생산에도 부정적 영향이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