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4일 청와대에서 제2차 비상경제회의를 주재하고 위기 상황을 맞은 기업과 금융시장에 총 100조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이는 지난 191차 비상경제회의에서 밝힌 민생·금융안정 패키지 프로그램 규모(50조원)2배로 확대한 것이다.

크게 보면 중소기업·자영업자에 대한 대출·보증 등 금융지원 규모가 516000억원, 주식과 회사채, 단기자금 시장에 공급되는 유동성은 485000억원이다. 중소기업·자영업자에 대한 경영안정자금(대출·보증) 516000억원 가운데 291000억원이 이번에 증액된 금액이다.

최근 혼란에 빠진 자금시장에는 총 485000억원을 공급한다. 채권시장안정펀드를 20조원 규모로 조성해 회사채시장은 물론이고 우량 기업어음(CP)과 금융채도 매입한다. 이미 조성된 10조원을 우선 가동한 후 10조원을 추가 조성할 예정이다.

특히 기업의 회사채 발행을 돕는 정책금융 지원 규모도 41000억원을 증액했다. 산업은행이 22000억원 상당의 회사채 신속인수제도를 시행하고 19000억원 상당의 회사채 차환발행도 지원한다. 회사채 신속인수제는 만기 도래 회사채 상환을 위해 기업들이 사모 방식으로 회사채를 발행하면 산업은행이 80%를 인수해 기업의 상환 리스크를 줄여 주는 제도다.

기존 프라이머리 채권담보부증권(P-CBO) 프로그램을 합치면 회사채 발행 시장에 총 108000억원을 공급하는 것이다. P-CBO는 신용도가 낮아 회사채를 직접 발행하기 힘든 기업의 신규 발행 채권을 기초자산으로 유동화 증권을 발행해 기업이 저리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다.

회사채는 이름 그대로 회사가 발행하는 채권이다. 기업의 자금 조달 방법 중 하나다. 기본적으로 기업은 은행이 큰 자금줄이다. 아니면 주식시장에 상장에 돈을 쌓거나, 유상증자를 할 수도 있다. 회사채는 이런 방식 보다 더 안정적인 자금 조달 창구로 쓰인다.

기업은 채권을 발행해서 사채업자에게 채무를 부담지게 하고 이자를 정기적으로 지급한다. 약속된 만기에는 원금을 상환해야 한다. 은행이나 주식시장 보다 안정적이라고 하는 건 은행 대출 보다 조달 비용이 저렴하고, 주식보다는 리스크가 적기 때문이다.

그런데 만기 도래가 임박한 회사채 규모가 역대급이다. 특히 4월은 1년 가운데 회사채 발행이 가장 많은 달로 통한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4월 만기 도래하는 국내 회사채 규모는 65495억원에 달한다. 요즘 코로나19로 직격탄을 맞은 특정 산업의 기업들은 4월이 최대 고비가 될 수 있다.

그러면 회사채를 또 찍어내서 미래를 담보로 잡으면 되는 일이 아니냐고 생각할 수 있다. 이를 차환 방식이라 말한다. 빚을 빚으로 일단 돌려막는 거다. 문제는 회사채를 기업이 마음껏 찍어낼 수 없다는 점이다. 발행할 수 있는 수량과 금리는 해당 기업의 신용등급에 따라 결정이 난다. 요즘 국내외 대기업, 중소기업 막론하고 신용등급은 모두 하향 추세다.

이번 제2차 비상경제회의에서 정부가 채권시장안정펀드를 10조에서 20조 규모로 늘린 이유도 4월부터 만기 도래하는 기업의 회사채, 단기사채 등이 정상작동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셈법이 작용해서다. 채권시장안정펀드 등이 적용되면 상환을 연기시켜주는 효과가 발생한다. 일단 급한 불을 끌 수 있다.

4월은 코로나19로 인해 2월부터 잔뜩 경직됐던 기업들의 자금경색 리스크가 본격화될 수 있는 위기의 시기다. 사업이 잘 되던 기업도 현금이 한번 안돌기 시작하면 부도가 날 가능성도 있다. ‘흑자 부도는 갑자기 불어닥친 경제위기 상황에서 속출한다. 특히 재무구조가 취약한 수많은 중소기업들이 위험하다. 정부가 중소기업 금융안정에 최선을 다해야 하는 이유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