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사 현금보유 10.3조원 감소하고 순차입금 65.7조원 늘어
재고 팔리는데 평균 한달(31.7일) 넘게 걸려, ‘악성 재고’ 사상 최대

지난해 기업들의 수익성이 크게 악화되면서 현금성자산이 감소하고 차입금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작년 상장사 5곳 중 1곳은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도 내지 못했으며, 이러한 상황이 3년 연속 지속된 한계기업 수는 2017년 이후 2배가 늘었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코스피 상장기업 685개사의 개별·별도 재무제표를 분석을 통해, 업황 부진으로 인한 기업들의 재무건전성 악화가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 상장사 현금 10.3조원 감소하고 순차입금 65.7조원 늘어

상장기업 685개사의 현금성자산은 ’18년 142.0조원에서 ’19년 131.7조원으로 10.3조원(△7.3%) 감소했다. 절반 이상 기업들(51.8%, 355개사)의 현금성자산이 줄면서 전체 상장기업 현금성자산은 2년 연속 줄었고, 전년도(’18년, △3.2%) 대비 감소폭도 커졌다. 기업의 자산대비 현금 보유 비중인 현금자산비율도 ’16년 9.3%에서 ’19년 7.6%로 3년 연속 감소했다. 

한경연은 상장기업 현금성자산의 감소는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급감했기 때문이라 분석했다. 기업들의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19년 102.6조원으로 ’18년 137.7조원에 대비해 25.5% 감소했으며, 최근 5개년도 중 가장 적은 금액이었다.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줄어든 313개 기업 중 적자를 기록한 기업은 133개로 전체 상장사의 19.4%를 차지했다.  

기업들이 부족한 현금흐름으로 인하여, 투자금을 외부조달에 의존하면서 갚아야 할 순차입금은 증가했다. 총차입금에서 현금성자산을 제외한 순차입금은 171.2조원에서 236.9조원으로 전년 대비 38.4% 증가했다. 한경연은 차입금은 증가하는데 반해 현금유입은 줄어들어 기업들의 재무부담이 가중되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기업 5개중 1개는 이익으로 이자도 못 내, 한계기업은 2년간 2배 증가

’19년 이자보상배율이 1보다 작은 기업은 143개로, 상장기업 5개중 1곳(20.9%)이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기간(’15~’19년)중 가장 많은 기업 수로 ’16년 94개에서 꾸준히 증가했다. 또한, 3년 연속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지불하지 못하는 부실기업인 ‘한계기업’은 ’17년 28개에서 ’19년 57개로 두 배가 늘어났다.

'이자보상배율'은 영업이익/이자비용로 해당 값이 1보다 작으면 영업이익이 이자비용 보다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경연은 한계기업이 늘어나는 이유가 기업들의 매출이 정체된 가운데 영업이익은 크게 감소해 수익성이 줄어든 탓이라고 분석했다. 작년 상장기업 매출이 1,190.3조원에서 1,151.8조원으로 3.2% 감소하고, 영업이익은 111.3조원에서 55.5조원로 전년 대비 50.1% 감소했기 때문이다. 매출액대비 영업이익 비율인 매출액영업이익률도 ’18년 9.4%에서 ’19년 4.8%로 절반가량 줄어, 기업들의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줬다.

◈ 재고에서 매출까지 한달(31.7일) 넘게 걸려, ‘악성 재고’ 사상 최대

’19년 상장기업이 보유한 평균 재고자산은 99.9조원으로 사상 최대로 집계되었다. 한경연은 작년 재고자산 증가는 팔리지 않아 쌓인 ‘악성 재고’이며, 영업부진과 함께 기업 현금보유를 감소시키는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재고가 매출로 반영되는 속도인 재고자산회전율은 11.5회로 ’17년 14.3회 이후 2년 연속 감소해 기업들의 재고부담이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재고자산이 매출로 이어지는 평균일수는 ’17년 25.5일에서 ’19년 31.7일로 2년만에 일주일가량 늘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만성적 한계기업이 증가한 상황에서 코로나19 경제위기로 인해 한계상황까지 내몰리는 기업은 더 늘어날 전망”이라면서 “존립의 기로에 서있는 기업들이 위기를 버텨낼 수 있도록 자금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