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이 개혁과 변신을 앞장서서 강조하고 있는데도 공무원들이 복지부동의 태도를 보이고 있어 대통령이 화났다는 보도가 있었다.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것일까?
인간은 누구나 실수를 하기 마련이다. 특히 오늘날과 같은 변혁과 불확실성의 시대에서 새로운 일을 시도하다 보면 실수는 피할 길이 없다.

실수를 학습의 기회로 삼아야
‘학습조직’의 저자 캘흔 위크는 조직 내에서 어떤 사람이 새로운 일을 시도하다 실수를 범했을 때 다음과 같은 네가지 반응이 나온다고 분석하고 있다.
첫째는 실수를 받아들이고 실수로부터 학습한다.
실수를 깨닫고 그것으로부터 학습하며 그 학습을 조직전반에 걸쳐 공유하고자 하는 것이다. 물론 이것이 가장 생산적이고 바람직한 방법이다.
둘째는 실수는 인정하되 비난하는 경우다.
이는 실수를 인정하긴 하지만 그것으로부터 학습을 하기 보다는 비난하는데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이러한 비난은 실수를 저지른 사람들이나 조직에 굴욕감을 주게 되고 향후 실수를 범했을 때 그것을 인정하기 보다는 감추려는 경향을 만들게 된다.
실수한 부하를 비난할 것이 아니라 학습하게 만드는 것이 진정한 경영자의 자세다.
셋째, 실수를 숨기는 경우다.
이는 실수했다는 것을 공개하는 것을 거부하는 경우다. 이 경우 실수가 은폐되기 때문에 학습효과는 전혀 나타나지 않게 된다.
넷째, 실수를 인정하지 않는 경우다.
모든 사실이 드러났는데도 잘못되었다는 사실을 전적으로 부인하는 경우다. 이런 경우 실수를 저지른 사람은 잘못된 행동을 계속하게 된다.
이처럼 조직 내에서 개인의 실수가 나타났을 경우 그 반응은 여러 가지로 나타난다. 가장 바람직한 경우는 조직은 학습을 증진시키기 위해 직원들의 실수를 인정하고 실수로부터 학습하도록 격려하고 보상해 주는 것이다.
두려워서 은폐하기 보다는 정직하게 실수를 인정하면 개인에게는 아무런 불이익도 없다는 조직풍토를 만드는 기업이 성공할 수 있다.

공무원은 개혁 대상 아닌 주체
개인의 경우에도 실수를 받아들이고 실수를 학습의 기회로 삼는 사람이 성공할 수 있다.
공무원을 개혁의 대상으로 보지 말고 개혁의 주체로 끌어들이는 것이 공직개혁의 기본원리다. 그래야 자기반성과 실수를 인정하게 된다. 누구든지 개혁의 대상으로 몰리면 저항하거나 은폐하거나 변명한다.
그리고 생존을 위해 납작 엎드려서 숨만 쉰다. 복지부동의 원인부터 제거해야 개혁이 성공할 수 있다.

윤 은 기
IBS컨설팅그룹 대표·서울과학종합대학원 부총장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