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코로나19 일자리 창출 계획…3.5조원 규모·하반기 시행

정부가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고용 충격에 대응해 공공부문 디지털·비대면 일자리를 포함한 약 55만개 일자리를 청년 등 취약계층에게 제공한다.

소요재원은 3조5000억원으로 추산되며, 정부는 이를 3차 추가경정예산(추경)에 반영해 올해 하반기에 시행할 방침이다.

정부는 20일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주재로 제4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공공 및 청년일자리 창출 추진계획’ 을 의결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4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일자리는 공공부문에서 40만개를 만들고 민간부문에서 15만개가 만들어진다.

이번 공공 및 청년일자리 창출은  ▲비대면·디지털 일자리 10만명 ▲취약계층 공공일자리 30만명 ▲청년 디지털 일자리 5만명 ▲청년 일경험 지원 5만명 ▲중소·중견기업 채용보조금 5만명 등으로 추진된다.

공공 부문에서는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사회 변화를 반영해 디지털·비대면 일자리 10만개를 창출한다. 이 사업은 다음 달 공고에 이어 7월에 시행된다.

청년, 여성, 실직자 등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6개월 이내 일자리로, 주 15∼40시간 근로에 최저임금 이상의 임금을 지급한다.

중앙정부·지방자치단체·공공기관의 데이터 구축, 과학기술 논문·연구보고서 등 '머신 러닝'을 위한 데이터 세트 구축, 대학과 초·중·고교 온라인 강의·교육 지원 업무가 여기에 속한다.

전통시장 마케팅 콘텐츠 조성, 산업재해 예방 정책을 위한 안전보건 빅데이터 구축, 대학·연구기관이 취급하는 유해물질 전수조사와 데이터베이스(DB) 구축, 관광지·공연장·의료기관 방역 업무도 포함된다.

디지털·비대면 일자리와 별도로 코로나19 사태로 생계에 어려움을 겪는 저소득층, 실직자, 휴·폐업자 등을 위해 30만개의 공공 일자리를 제공한다.

전국 지자체별 수요에 따라 설계한 일자리로, 교통시설·어린이집·경로당·보건소 등 생활 방역 지원, 전통시장 활성화 캠페인 지원, 농·어촌 일손 돕기와 환경 정비, 산책로·시가지 정비 등 단순 업무가 대부분이다.

민간 부문에서는 청년을 위한 디지털 일자리 5만개를 창출한다. 중소·중견기업이 정보기술(IT) 지식을 활용하는 직무에 미취업 청년을 채용하면 정부가 인건비를 최장 6개월 동안 1인당 월 180만원까지 지원하게 된다.

정부는 기업이 지원 신청 과정에서 채용 대상 업무를 콘텐츠 기획, 빅데이터 활용, 기록물 정보화 등 유형별로 명시하도록 해 단순·반복 업무에 청년을 채용하는 것을 예방할 계획이다.

청년 5만명을 대상으로 일 경험도 지원한다. 중소·중견기업이 청년을 단기 채용하면 정부가 최장 6개월 동안 1인당 월 80만원까지 인건비를 지원하는 방식이다.

취업 문이 막힌 청년이 일 경험이라도 쌓도록 해 취업 준비를 계속하게 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일 경험을 제공하는 기업은 직원들 가운데 '멘토'를 정해 청년에게 업무 지도를 하게 된다.

코로나19 사태로 일자리를 잃은 사람을 채용한 중소·중견기업에 대해서는 기존 고용촉진장려금보다 요건을 완화한 채용 장려금을 준다. 지원 대상은 구직자 기준으로 5만명이다. 지원 기간은 최장 6개월이고 1인당 월 100만원까지 지원한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