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수송 등 5대 분야 집중해 2050년 ‘탄소배출 제로’ 도시로…2조6천억 투입
그린뉴딜로 2만6천개 일자리 창출, 사람․자연․미래가 공존하는 살기 좋은 지속가능 도시로

박원순 시장이 2022년까지 2조6천억 원을 투입해 대대적인 ‘그린뉴딜’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서울이 과감하게 첫 발을 내딛어 그린뉴딜의 표준모델을 제시한다는 목표다. 

‘서울판 그린뉴딜’의 전략은 ▴건물 ▴수송 ▴도시숲 ▴신재생에너지 ▴자원순환 5대 분야를 집중 추진해 경제위기와 기후위기에 동시에 대응하고, 사람․자연, 미래가 공존하는 살기 좋은 지속가능한 도시를 만드는 것이다.

핵심적으로, 서울지역 온실가스 배출의 약 94%를 차지하며 3대 주범으로 꼽히는 건물(68.2%), 수송(19.4%), 폐기물(6%)로 인한 배출을 선제적으로 줄인다. 도시숲을 확대해 배출된 온실가스를 흡수하며,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을 가속화하는 전략을 동시 다발적으로 병행한다.

예컨대, 경로당, 어린이집, 보건소 같이 취약계층이 많이 이용하는 노후 공공건물 241개소부터 에너지 효율을 제로에너지건물 수준으로 높이는 ‘그린 리모델링’을 대대적으로 시작한다. 내년부터 연면적 1천㎡ 이상인 시 공공건물은 건물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제한하는 ‘건물온실가스총량제’도 도입한다.

[서울시 제공]
[서울시 제공]

민간 신축건물에 대한 ‘제로에너지건축(ZEB) 의무화’도 정부 로드맵보다 2년 앞당겨 2023년 시작한다.

'제로에너지건축(Zero Energy Building)'은 단열·기밀성능 강화를 통해 건축물 에너지 사용량을 저감(패시브)하고,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설비로 에너지를 생산(액티브)하여 에너지소비를 최소화하는 건축물을 의미한다.

[서울시 제공]
[서울시 제공]

서울시 관용차량과 시내버스, 택시는 단계적으로 전기차‧수소차로 전면 교체한다. 2035년부터는 배출가스가 ‘0’인 전기‧수소차만 등록 가능하도록 법 개정을 추진하고, 사대문 안 녹색교통지역 내에서는 전기‧수소차만 운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2050년부터는 서울 전역에 전기·수소차만 운행할 수 있도록 관련 법령 개정을 정부와 국회에 요청할 예정이다.

또, 서울시가 추진 중인 ‘3천만 그루 나무심기’를 '22년까지 완료해 안전한 그린 쉼터로서 공원의 역할을 강화한다. 상하수도시설, 도시철도시설 등 공공시설에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한다. 폐기물 발생을 원천적으로 줄이고 발생된 폐기물은 자원화하는 ‘순환경제’를 통해 '25년까지 생활폐기물 직매립 제로화를 실현한다. 

[서울시 제공]
[서울시 제공]

서울시는 이 과정에서 ‘그린뉴딜’ 산업을 부흥시켜 '22년까지 총 2만6천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박원순 시장이 'CAC 글로벌 서밋 2020'에서 선언한 ‘2050년 탄소배출 제로(Zero) 도시’를 실현한다는 목표다. 

이번 전략은 앞서 6월 초 열린 'CAC 글로벌 서밋 2020'에서 선언한 ‘2050년 탄소배출 제로도시’ 실현을 위한 로드맵이다.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시가 지난 8년 간 선도적으로 추진해온 기후·환경 정책을 업그레이드하고, 전문가‧시민단체의 정책제안, 거버넌스를 통한 정책발굴, 두 차례의 시민 설문조사 등 7개월여 동안 준비를 통해 각계의 의견을 모아 마련했다. 

서울시는 실효성 있는 정책 발굴을 위해 작년 11월부터 전문가‧시민단체 25인의 ‘기후행동포럼’(위원장 전의찬)을 운영하고 16차례의 회의를 진행했으며 이를 통해 4개 분야(건물, 수송, 폐기물, 에너지) 정책을 마련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