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연구개발(R&D)비 1억원당 2.82명의 일자리가 창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산업기술평가원은 20일 르네상스호텔에서 ‘제2회 국제 R&D 평가 심포지엄'을 열고 “지난 95년 이후 산업기술개발사업으로 지원된 1천122개 과제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기술개발비 대비 매출액 발생비율은 25.2배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는 매출액 발생비가 16~22배 정도인 선진국과 비교했을때 우리나라 정부지원 연구사업의 파급효과가 큰 것을 의미한다고 평가원측은 설명했다.
평가원은 또 “한국은 정부연구비 1억원당 고용창출도 2.82명으로 다른 나라들보다 높게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를 중심으로 한 선진국의 R&D투자기법과 유망기술 육성전략 등이 국가별 사례로 제시된 뒤 고효율 R&D 투자전략과 성과관리 방안이 집중 논의됐다.
국가별 발표에서 알 타이크 미국과학진흥협회 이사는 “미국의 내년 R&D 예산에서 국방분야가 56%를 차지하고 있으며 연방 R&D 예산 중 37%는 산업계에서 집행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 중국의 팡 양 과학기술평가센터 부장은 “중국의 국가 R&D 투자규모는 지난 91년 이후 10여년간 7배 증가했다"며 “중국은 기술개발의 수행주체를 관주도에서 민간주도로 신속하게 이행중"이라고 설명했다.
이밖에 핀란드는 기술혁신의 60%가 정부지원사업을 통해 이뤄지며 일본은 연구개발평가기관에서 일단 자금을 지원하면 과제종료후 5년까지 추적평가를 통해 연구성과 활용과 파급효과를 측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