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별 시장상황·품목별 유망시장 달라... 11월엔 ‘K-마스크 집중주간’도

코로나19로 한국의 방역물품 수출은 지난해에 비해 2배 이상 늘었다. 최근 물량 확보에 주력하던 수입국들이 자체 조달로 방향을 선회하면서 우리 기업도 발빠른 대응이 요구된다.

KOTRA가 세계 해외무역관을 통해 조사한 ‘코로나19 방역물품 글로벌 시장동향 및 향후 수출방안’ 보고서를 발표했다.

◈ 국가별 시장상황 달라

올해 국산 방역물품 수출은 8월까지 33억 달러로 집계돼 전년 동기 대비 184% 증가했다. 하지만 코로나19 초기 대부분 국가가 물량 확보에 주력하면서 최근에는 공급 과잉세까지 나타나고 있다. 많은 나라들이 자국생산 정책을 바탕으로 수입품에 까다로운 규격 인증을 요구하는 등 비관세 장벽을 높이고 있다.

특히 ▲진단키트는 가격경쟁 심화와 자국생산 확대로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다수 국가가 정확도가 높은 RT-PCR 진단방식만을 표준으로 인정하나, 검사 인프라가 부족한 신흥국가를 중심으로 신속 진단키트에 대한 수요도 커지고 있다. ▲마스크는 수급이 안정되면서 국제가격의 하향 조정세가 나타나고 있다. ▲손소독제는 물류비용 부담에 따른 인근국 수입이 두드러진다.

◈ 품목별 수출 유망시장

이처럼 품목별 현지상황이 다르므로 수출 유망시장도 구분해서 공략할 필요가 있다. 진단키트는 한국제품 인지도가 높은 중남미와 월드컵 관련 공사가 한창인 카타르 등 중동 지역이 유망하다. 인도도 확진자가 늘면서 키트 수요가 늘 것으로 전망된다.

마스크는 자국 내 생산기반이 부족하고 한국제품 선호도가 높은 쿠웨이트, 모로코, 요르단 등 중동 국가를 주목해야 한다. 마스크 착용이 일상화되고 있는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등도 유망하다. 손소독제는 물류비용이 적게 드는 중국, 동남아시아 등 인근 지역부터 검토할 필요가 있다. 미국·일본시장 수요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방호복, 라텍스글러브, 안면보호구 등 기타 의료용 개인보호장구는 북미·유럽 위주로 수요 확대가 예상된다. 손세정티슈, 항균필름 등 개인위생용품도 선진시장 중심으로 규모가 커질 것으로 관측된다. 몽골, 카자흐스탄에서는 대규모 병원 건설사업이 예정돼 있어 의료기기 수요 역시 늘어날 전망이다. 

[KOTRA 제공]
[KOTRA 제공]

KOTRA는 지난달 22일 ‘수출활력 강화를 위한 K-방역 기업 간담회’를 열고 우리 중소·중견기업이 겪는 어려움을 파악했다. 다음달 2일부터는 2주 동안 K-마스크 집중주간을 운영한다. 세계 유망바이어를 발굴해 온라인 상담을 진행하고 한국기업의 가격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샘플 운송비와 현지 물류비도 지원할 계획이다.

권평오 KOTRA 사장은 “K-방역은 코로나19 종식을 앞당기려는 대한민국의 노력인 동시에 우리 수출기업의 기회가 될 수 있다”며 “우리 중소·중견기업도 KOTRA와 함께 공격적으로 해외시장 개척에 나서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코로나19 방역물품 글로벌 시장동향 및 향후 수출방안' 보고서는 22일부터 KOTRA 해외시장뉴스 누리집(news.kotra.or.kr)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