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강화전략’발표,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41개사 투자 예정

연평균 생산 20% 늘고 9300명 신규 고용 선순환 생태계 조성

정부가 차세대 핵심 산업인 바이오헬스 분야에서 오는 2023년까지 약 10조원 규모의 민간 투자가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이를 위해 바이오산업 사업화를 촉진하고 기술융합과 핵심기술 확보 등을 집중 지원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18일 인천 송도 연세대 국제캠퍼스에서 이같은 내용의 바이오헬스 산업 사업화 촉진 및 기술역량 강화를 위한 전략을 발표했다. 산업부에 따르면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등 바이오헬스 분야의 주요 36개사와 벤처캐피탈 5개사 등은 2023년까지 총 10조원 규모의 투자를 진행할 계획인 것으로 조사됐다.

분야별 투자계획 규모를 보면 의약품이 84000억원으로 가장 많고 벤처투자(14000억원), 의료기기(5000억원), 헬스케어(1800억원) 순이다.

이들 기업이 투자 계획을 성공적으로 이행할 경우 2023년까지 생산이 연평균 약 20% 늘고 약 9300명 규모의 신규 고용이 창출될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따라 정부는 내년도 바이오헬스 분야 R&D 예산은 올해보다 30% 증가한 17000억원으로 편성됐다. 특히 범부처 협력연구에 올해(2900억원)2배 이상으로 늘어난 640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아울러 정부는 개별 기업의 투자가 성공해 다른 투자 성공 사례를 창출하는 선순환 구조를 형성하도록 의약품, 의료기기, 디지털 헬스케어 등 분야별로 기업의 기술개발, 생산, 투자에 영향을 미치는 사업화 및 시장진출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의약품 제조혁신센터 구축

우선 의약품은 올해 연세대 국제캠퍼스 내에 바이오 인력양성센터를 구축해 2024년부터 개발·공정 인력을 연 2000명 양성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R&D에서 인·허가, 생산으로 이어지는 가치사슬 단계별로 전문인력을 적기에 공급해 기업의 성장 기반을 강화한다는 구상이다.

또한 원부자재와 소형 장비 국산화를 위해 인공지능(AI) 등을 활용한 의약품 제조혁신센터를 구축하고 AI, 3D 조직칩 등을 이용해 신약개발 기간과 비용을 단축하는 등 기업의 개발 리스크를 완화할 방침이다. 의료기기는 내수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자 병원과 기업의 공동 R&D 발굴·개발을 지원한다.

K-방역 패키지(방역서비스-기기), 병원차(자동차-바이오헬스)와 같은 패키지형 수출 지원을 강화하는 한편 전자약, 디지털치료제 등 미래 유망 분야에 대한 선제적 R&D 투자를 늘릴 계획이다. 디지털 헬스케어는 100만명의 유전체·임상정보 관련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고 가명처리 표준화 기술을 개발해 데이터 활용의 편의성을 높이기로 했다. 환자 안전과 진료 연속성을 위해 도입한 전자의무기록(EMR) 인증제를 확산하는 등 바이오헬스 데이터 표준화에도 속도를 낸다.

 

지역별 클러스터 집중 육성

지역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송도(바이오의약품), 원주(의료기기·헬스케어), 오송·대구(바이오헬스 첨단 인프라) 등 주요 클러스터도 집중적으로 육성한다.생산시설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용생산시설을 구축하는 한편, 바이오 사업화 전문가 그룹이 컨설팅을 제공하는 바이오카라반을 추진하는 등 지역 클러스터의 기능을 확충할 계획이다. 이 밖에 바이오 기술의 융합과 사회시스템 적용을 확대하고 공통핵심기술 확보 및 활용을 지원하는 내용의 R&D 고도화 전략을 마련해 시행한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