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최근 20년간 韓·日 제조업 고령화 추이 분석]
근로자 평균나이 韓6.6세↑ (42.1세), 日은 2.3↑ (42.7세)
‘경제허리’ 30대 감소 심화…임금체계 개편 등 시급

출산율 하락, 수명연장 등에 따른 고령화 추세 속에서 한국 제조업의 인력구조도 급속하게 고령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세계에서 가장 늙은 나라로 꼽히는 일본보다도 제조업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우리 경제의 성장잠재력이 급속히 저하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최근 20여 년간(19992019) 한국과 일본의 제조업 고령화 추이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지난 15일 밝혔다. 한경연에 따르면 한국의 제조업 근로자 평균연령은 199935.5세에서 201942.1세로 6.6세 높아졌다. 반면 일본은 40.4세에서 42.7세로 2.3세 증가에 그쳤다. 한경연은 증가 폭 기준으로 한국의 제조업 근로자가 일본보다 2.9배 빨리 고령화되는중이라고 설명했다. 또 한국과 일본의 제조업 근로자 연령 차이가 19994.9세에서 20190.6세로 좁혀진 것을 볼 때 이 속도가 유지된다면 2022년부턴 한국 제조업 근로자가 일본보다 고령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30·40 경제허리 감소

제조업 근로자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한국은 청년층(1529) 비중이 199932.0%에서 201916.0%로 반 토막 났다. 경제 허리인 30대는 같은 기간 6.3%포인트 감소했고, 40대는 3.6%포인트 증가했다. 50~60대 비중은 크게 늘었다. 50대는 14.0%포인트 늘었고, 60세 이상은 4.7%포인트 증가했다.

일본은 한국과 마찬가지로 청년층(1529) 비중이 줄었으나 감소 폭(6.4%포인트)이 한국(16.0%포인트)보다 작았다. 50대와 60대 비중이 모두 증가한 한국과 달리 일본은 50대 비중은 1.5%포인트 줄었고, 60대는 5.4%포인트 늘었다.

 

임금 증가 속도 높아

한국은 일본과 비교해 임금도 빠르게 상승했다. 한국의 1999년 대비 2019년 임금을 살펴보면 모든 연령대에서 임금이 2배 이상으로 늘었다. 이 중 50대가 3.14배로 가장 많이 증가했고 이어 40(2.88), 60세 이상(2.77) 순이었다. 청년층(1529)30대의 임금 증가율은 각각 2.72, 2.48배였다.

일본은 전반적으로 임금 변화가 크지 않았는데, 30대와 60세 이상에서 1999년 대비 2019년 임금이 각각 0.97, 0.98배로 줄었다. 청년층(1.18)50(1.07)에서만 임금이 소폭 증가했다.

 

임금체계 개편 등 부담 줄여야

한국에서 저연령층보다 고연령층의 임금이 빠르게 오른 것은 연공 서열 위주의 임금체계 때문이라고 한경연은 해석했다. 한국은 근속·연령에 따라 임금이 결정되는 호봉급 도입 사업장(61.8%)이 직무난이도·기술 위주의 직무급(38.7%)이나 숙련 정도가 중요한 직능급(29.5%)보다 많았다. 하지만 일본은 직능급(76.5%)과 역할·직무급(57.8%)을 도입한 사업장이 절반 이상이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주력산업인 제조업의 급속한 노령화는 생산성 하락에 따른 잠재성장률 저하를 야기하고, 특히 한국의 호봉급 위주의 임금체계와 노동시장 경직성을 감안할 때 기업들의 인건비 부담과 신규채용 여력 감소로 이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어서 그는 인력 고부가가치화와 성과·직무 중심으로의 임금체계 개편, 노동시장 유연화가 뒷받침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