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유례 없는 수주 호황을 맞고 있는 국내 조선업계에서 도크(Dock)없이 선박을 건조하는 새로운 공법을 개발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조선업계는 이같은 신건조 공법을 통해 밀려드는 전세계의 선박 발주량을 소화함으로써 중국과 일본의 추격을 따돌리고 세계 1위의 입지를 확고히 다진다는 방침이다.
최근조선업계에 따르면 현대중공업은 세계 최초로 도크가 아닌 육상에서 건조한 러시아 노보십(Novoship)사의 10만5천t급 원유운반선 ‘NS 챌린저(Challenger)'호의 명명식을 갖고 선주 측에 선박을 최근 인도했다.
현대중공업은 ‘배는 도크에서 만든다'는 기존의 상식을 깨고 육상에서 배를 조립해 만든 뒤 배를 밀어서 바다에 띄우는 새로운 육상건조 방식에 성공, 국제 특허까지 출원했다.
도크는 배를 만든 뒤 바다에 띄울 수 있도록 해주는 일종의 대규모 웅덩이로 도크의 규모와 수는 조선업체의 건조능력을 가늠하는 잣대가 될 만큼 선박 건조의 필수 조건으로 인식돼왔다. 그러나 이같은 육상 건조공법에 성공함으로써 도크를 추가로 지을 땅이 없는 국내 조선업체들의 고민이 해결됨과 동시에 선박 건조능력이 도크의 제한에서 벗어나 획기적으로 늘어날 수 있게 됐다.
국제 시장에서 발주물량이 쇄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크가 없어 추가 수주를 선별적으로 제한할 수 밖에 없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 된 셈이다.
STX조선도 최근 선박을 2부분으로 나눠 육상에서 건조한 뒤 해상에서 이를 조립하는 새로운 건조공법인 ‘스키드 런칭 시스템(Skid Launching System)' 개발에 성공했다.
STX조선은 지난 1년6개월간 연구개발비 5억원과 자체 기술 및 인력을 투입해 개발에 성공했으며 도크의 추가 건설 없이도 향후 발주 물량을 소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진중공업은 도크보다 큰 선박의 건조를 위해 도크 내 탑재가 가능한 만큼 선박을 건조하고 도크의 크기를 초과하는 구간은 육상에서 만든 뒤 이를 해상에서 용접해 완성하는 일명 ‘댐(DAM)'공법을 개발했다.
또 삼성중공업은 육상에서 철구조물 100∼130개를 만든 후 도크로 옮겨 조립해서 배를 완성하던 기존 방식과 달리 육상에서 2천500t이상의 초대형 블록 7∼8개를 만들고 도크에서 조립하는 ‘메가블록(Mega Block)방식'을 사용해 건조기간을 줄여 나가고 있다.
대우조선해양도 대형 선박의 이중선체 블록을 끼워 맞추는 형식으로 조립하는 ‘양면 슬리트 공법'이나 선체 중앙부를 12개 토막의 링으로 나눠 제작하는 ‘링타입 탑재 공법' 등을 개발해 시행하고 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