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발전 10개년 계획 확정… 항만 물동량 20억t 달성

정부가 해양수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신산업 육성을 통해 오는 2030년까지 해양수산분야 신산업 시장 규모를 113000억원으로 키우고 전국 항만의 물동량도 20t 규모로 늘리기로 했다.

해양수산부는 이같은 내용으로 문화체육관광부, 환경부 등 15개 부처와 함께 수립한 3차 해양수산발전 기본계획’(20212030)이 지난 12일 국무회의에서 심의·의결됐다고 밝혔다.

해수부는 우선 2018년 기준으로 33000억원 규모에 머무는 해양수산 분야 신산업 시장 규모를 2030년에는 113000억원으로 키울 계획이다. 이를 위해 해양바이오산업, 해양에너지·자원 산업 개발, 해양레저관광, 첨단 해양장비 등 네 가지 분야를 중심으로 신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한다.

액화천연가스(LNG) 벙커링, 선박 수리조선, 수산 기자재, 낚시 산업에 대한 지원도 확대하기로 했다. 한국해양진흥공사의 보증 범위 확대와 선박의 소유·운영 분리 등을 통해 기존 산업의 성장도 함께 이룩한다는 방침이다.

해수부는 이를 통해 시장 규모 확대는 물론 현재 164000t 수준인 전국 항만의 물동량도 2030년에는 20t으로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해양수산업의 디지털 전환도 추진한다. 해수부는 2030년까지 완전무인 자율운항선박의 개발을 마치고 세계 자율운항선박 시장의 점유율을 50까지 늘릴 계획이다.

스마트 항만 조성을 통해 컨테이너 화물 처리 시간을 25TEU 기준으로 현재 40시간에서 203024시간으로 40.0단축할 예정이다. 수산업 분야에서는 스마트 양식장과 가공공장, 인공지능(AI) 옵서버 도입 등을 통해 산업을 디지털화하고 수산물의 비대면·온라인 거래를 더욱 활성화하는 방안이 마련됐다.

또 공공과 민간 데이터를 결합해 수요자 입장에서 더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 마켓플레이스를 만들고 이를 통해 혁신 관련 서비스와 창업지원 등을 할 예정이다.

해양수산 분야의 안전 강화도 주요 전략으로 추진한다. 항만작업 중 사고를 당한 사람의 비율을 1만명 당 2.55명에서 2030년에는 0.51명으로 줄이고, 수산물 식중독 비율도 15에서 4로 대폭 낮출 계획이다. 이를 위해 빅데이터와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해양수산 근로 현장과 장비에 접목하고, 양식수산물에 대해서는 산지 거점유통센터 등을 통해 수산물 품질과 유통이 투명하게 관리되도록 할 예정이다.

이 밖에 생분해성 어구 의무화와 전자어구 관리시스템 도입 등을 통해 현재 149000톤 규모인 해양 쓰레기를 2030년에는 74000톤 규모로 감축하고, 수산자원량은 현재 437만톤에서 2030503만톤으로 15.1늘린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