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혁신주도형 경제에서의 중소기업’, ‘혁신주도형 중소기업’, ’혁신 선도형 중소기업‘, 혁신형 중소기업, 기술혁신형 중소기업(Inno-Biz) 등이 개념의 정확한 이해 없이 무분별하게 사용되고 있다.
더구나 그것이 중소기업을 위한 정책 핵심을 천명하기 위해 표현된 단어라면 일선 정책 입안자, 연구자, 신문과 방송 등이 정확한 개념 이해 후 통일된 하나의 단어로서 표현의 일관성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충실한 기업성장여건 조성을
혁신주도형 경제에서의 중소기업이란 ‘국가경제가 투자주도 단계에서 선진형 혁신주도 단계로 이행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할 중소기업’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래 ‘혁신주도형 경제’개념은 포터(M.Porter) 교수로부터 나왔다. ‘혁신주도형 경제’는 기업 활동의 기반을 중요시하는데 국가의 수요, 자원, 기업 간 경쟁구조, 특정 산업과 관련산업 여건 등 기업들의 활동 기반이 모두 선진화돼 지식과 기술이 주도하는 경제를 말한다.
그러므로 ‘혁신주도형 경제를 위한 중소기업 정책’은 정부가 소비자 수요의 고급화, 인적자원 업그레이드, 기업 간 공정경쟁 질서 정착, 하도급 관계 등 관련 산업 클러스터의 풍부한 형성 등을 통해 지식과 기술이 경쟁력의 원천인 중소기업들이 성장할 여건을 충실하게 형성하는 정책이 돼야 할 것이다.
특히 중소기업 자체의 경쟁력도 중요하지만 기업 활동에 필요한 국가적 여건 형성에 더 큰 의의가 있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이해할 때 ‘혁신 선도형 중소기업’은 적절한 표현이 아닐 것이다. ‘지식을 중심으로 혁신하는 중소기업’으로 이해되기도 어렵고 ‘국가경제의 기반과 전체 기업의 혁신을 선도하는 중소기업’은 우리 여건에서 현실적으로 무리한 시도이다.
최근에는 ‘혁신형 중소기업’을 이노비즈(Inno-Biz) 기업 또는 벤처기업과 동일시해 표현하는 사례가 늘어나 혼란이 가중되는 느낌이다. ‘혁신주도형 경제에 있어 중소기업’이라는 당초의 호랑이가 정책입안 과정에서 고양이가 되더니 요즈음에는 그것이 고양이인지 너구리인지 분간 못하는 형국이다.

수요자 중심 행정지원 필수
어느 단어와 표현으로 현 정부의 중소기업 정책 목표를 표현하고, 정책을 만들고, 성과를 관리해 나갈 것인가? ‘혁신주도형 경제에서 중심적 역할을 하는 중소기업’이 정책 목표라면 ‘혁신주도형 중소기업’으로 줄여서 표현하고 직접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것 못지않게 그 기반을 만들고 튼튼하게 정착되도록 하는 정책 방안을 생각할 수 있다.
국가적으로 지식기반 제조업의 수요와 더불어 레저, 교육, 의료, 환경, 법률, 사업서비스 등에 대한 수요의 다양화와 고급화를 위한 수요 유발 정책, 인적자원 업그레이드를 위한 대학교육의 혁명적 변화와 생산성과 연계되는 보상 등 인사제도 혁신의 확산, 기업 간 공정경쟁 질서 정착을 위한 각종 제도 개혁과 정부의 조직구조 혁신, 주요 최종재 산업과 관련 부품 산업이 다양한 경쟁과 협력 속에 경쟁력을 동반 발전시키는 기반의 마련 등이 그것이다.
또한 혁신주도형 경제를 선도할 중소기업은 이노비즈 기업, 우수 벤처 뿐만 아니라 보다 다양한 지식기반의 서비스업, 경쟁력 있는 부품 기업, 이노비즈나 벤처 인증을 받지 않았더라도 우수 기술을 기반으로 성장 잠재력을 지닌 기업 등 보다 다양한 범주의 중소기업들이다.
따라서 형식적 기준에 의해 이노비즈나 벤처를 인증하고 혜택을 제공하는 정책 공급자 중심의 자세보다는 현장의 기업들에게 다가가서 성장잠재력과 정책수요를 파악하고 그들에게 필요한 여건을 적극적으로 조성하는 수요자 중심의 자세가 필요하다.

김 승 일
중소기업연구원 연구위원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