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전력투구하고 있는 한국전력의 부산이전이 이뤄질 경우 지역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최대 연간 2조원대에 이른다는 분석이 나왔다.
최근 안경률(한나라당), 조경태(열린우리당) 의원 공동주최로 부산시청에서 열린 ‘공공기관 이전을 통한 지역혁신 발전방안’세미나에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윤영선 선임연구위원은 ‘한국전력공사 이전에 따른 부산경제 파급효과’주제발표를 통해 “지역산업연관 분석모형을 이용해 한전 이전에 따른 파급효과를 분석한 결과 이렇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윤 위원은 한전본사만 이전하는 경우(1안)와 한전본사와 한국남부발전㈜ 동시 이전(2안), 한전 본사와 5개 발전 자회사 동시 이전(3안), 한전본사와 5개 발전 자회사 및 관련 회사 동시 이전(4안) 등 4가지 시나리오를 가정해 파급효과를 분석했다.
윤 위원은 한전의 이전이 지역에 미칠 파급효과를 사옥 등의 이전에 필요한 시설을 건설하는 1~3년차와 이전을 완료한 뒤 사업활동이 이뤄지는 4년차 이후의 2단계로 나눠 분석했다.
한전 본사만 이전하는 1안의 경우 1~3년차에는 생산유발 751억원과 부가가치 유발 322억원, 고용유발 726명의 파급효과가 발생하고 4년차 이후에는 매년 2천578억원의 생산유발 및 1천481억원의 부가가치 유발, 1천866명의 고용유발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분석됐다.
한전본사는 물론 관련회사까지 함께 이전하는 4안은 파급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됐는데 1~3년차에는 생산유발 1천802억원과 부가가치유발 773억원, 고용유발 1천742명의 파급효과를 가져오고 4년차 이후에는 매년 1조3천655억원의 생산유발과 7천995억원의 부가가치 유발, 9천256명의 고용유발 효과를 발생시킬 것으로 윤 위원은 추정했다.
결국 한전의 이전규모에 따라 기대되는 파급효과는 최소 연간 4천여억원에서 최대 2조1천700억원대에 이른다는 것이 윤 위원의 주장이다.
이러한 한전 이전에 따른 부가가치유발효과가 부산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3년말 기준으로 적게는 0.2%에서 많게는 1.3%에 이른다.
윤 위원은 “공공기관 이전은 그 위상과 역할이 큰 기관일수록 가급적 지방 대도시로 이전시켜야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본래기능을 단시간에 제대로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며 “이런 측면에서 부산은 다른 지방도시에 비해 한전의 이전 대상지로 적합하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