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모가 작은 기업일수록 인력부족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회장 김용구)가 679개 중소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중소제조업 인력현황조사’결과 지난해 말까지 중소기업의 인력부족 현상은 다소 완화돼 왔으나 지난 12월을 기점으로 점차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종업원 20인 미만의 소기업의 생산직 인력 부족현상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제조업 전체의 지난해 말(12월) 인력부족률이 4.6%인데 반해 지난 6월에는 5.5%로 상승했다. 또 소기업은 지난해 말 11.6%에서 지난 6월에는 15.5%로 급상승해 인력난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제조업체는 학력별 필요인력도 고졸인력 부족률(5.5%)이 대졸인력 부족률(4.1%)보다 높게 나타나 상대적으로 생산직은 고졸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직률도 중소기업은 생산직이 14.8%로 사무직(8.8%)보다 높았고 연구개발직은 7.0%로 나타났다. 이처럼 중소기업은 생산직 이직률이 높아 생산시설 가동 및 인력관리에 애로를 느끼고 있어 고등학교와 중소기업을 연계시킨 인력양성 프로그램을 활성화 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졸의 이직률은 16.2%로 대졸 이직률 8.4%보다 무려 두 배나 높아 소기업의 고용안정을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중소기업의 인력부족 이유로는 ‘대기업에 비해 상대적 저임금’이 39.2%로 가장 많았고 ‘중소기업에 대한 왜곡된 인식’이 32.5%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 중소기업이 소재하고 있는 지역의 취업대상근로자 부족 및 지방근무 기피(26.8%), 대기업 선호(25.6%), 필요인력 양성 부족(25.2%), 잦은 이직 및 타 업체 스카웃(23.0%), 열악한 작업환경(22.7%) 등을 이유로 들었다.
전반적으로 중소기업의 열악한 분위기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근로자들이 기피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중소기업은 인력난 해소를 위한 정부지원으로 ‘직접적인 임금보조’와 ‘직접적 인력지원’등 정부의 적극적인 시책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조사대상의 87.1%가 복리후생비 등 직접적인 임금보조를 희망했고 74.0%는 산업기능요원 배정 확대(45.5%)와 외국인 연수생 확대(28.8%) 등 직접적인 인력지원책을 요구했다.
이 같은 중소기업 전반의 인력부족 현상에도 불구하고 올해 하반기 인력채용 계획은 55.8%가 ‘없다’고 응답했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