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이니 지속가능경영이니 하는 길고 낯선 단어가 자주 눈에 뜨인다. 자연환경을 고려하는 경제개발을 하자는 취지로 80년대 후반부터 UN 기관들이 쓰기 시작했는데 요즘은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차원으로 그 의미가 확장됐다.
지속가능경영은 환경, 경제, 사회영역을 망라하는 광범위한 것이므로 우선 일부 대기업들만 시도하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중소기업과 무관한 이야기는 아니다.
첫째, 앞으로 지속가능경영체제가 확산되면 중소기업들도 ISO 14000 등 환경경영시스템 이행의 압박을 더 많이 받게 될 것이다. 해외시장이나 대기업과의 거래량이 많은 중소기업들은 이에 대해 미리 대비해야 한다.

내일을 대비하는 자세

둘째, 지금까지 크게 강조되지 않던 사항들이 상시적 프로그램으로 바뀌어 중소기업에게 압박을 가해올 수 있다. 이미 윤리경영, 리스크 관리, 지속적 기술혁신, 변화에 대한 탄력성을 포함하는 종합적 경쟁력 시대에 들어서 있음을 감안해야 한다.
글로벌 증권시장에서는 재난과 사고를 즉시 공개해 주가에 반영토록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다우존스그룹 등 주요 기관들은 평가지표에 각종 리스크 지표, 장기적 기업자원, 사회기여도, 환경의식까지 포함해 평가하는 추세이다. 신 바젤협약에서 3대 리스크 즉, 신용-시장-운영 리스크를 강조하는 것도 이와 유사한 맥락이다. 이와 같은 압박은 중소기업에게도 직접 또는 간접적인 충격이 될 것이다.
셋째, 중소기업계는 적극적으로 중소기업 고유의 지속가능경영 요소를 찾아내어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지속가능성이란 단어의 핵심은 “현재의 요구만 생각하지 말고 다음 세대까지 생각하자”는 것이다. 규모가 영세한 중소기업은 사실 하루하루가 살얼음판이고 내일을 확신하기 어렵지만, 너무 오늘의 일에만 몰두하면 안 된다.
기업은 한 세대로 끝낼 수 없는 영속체이다. 다음 세대의 생존과 번영에 대해서도 미리 준비하고 대책을 생각해야 한다. 중소기업 정책당국과 중소기업 경영자들은 특히 세 번째 항목에 대해 심사숙고할 필요가 있다.
중소기업 정책당국은 지속가능경영 패러다임으로 전환해 문제를 볼 필요가 있다. 상담 한번 해주고 지원 한번 해주었다고 되는 일이 아니다. 중소기업의 취약한 대내외 네트워크와 신용 인프라를 근본적으로 충실화해야 한다.
그런데 최근 정부 일각에서는 정책금융의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폐지할 뜻을 비친 바 있고 중소기업계와 진흥공단은 정책금융의 유효성을 주장하고 통계결과로 반박하는 등 갑론을박 하고 있다. 모든 정책이 단발성이고 사용되는 지표가 주로 매출액, 수익률 등 단기적 재무지표라는 점도 우리를 우울하게 만든다. 보다 장기적인 지속가능경영체제의 지표를 사용하고 모든 개혁의 파급효과를 시스템적으로 파악하는 과학적 노력이 요청된다.

단발성 극복 관건

중소기업 경영자들도 시야를 넓혀 다음 세대까지 생각하는 경영을 해야 한다. 수년전 호주에서 개최된 지속가능경영 전문가 패널에서 한 가지 의미 있는 결론이 나온 바 있다. 즉, “회사 창업세대를 소중히 대우하는 프로그램을 준비하라”는 것이다. 이 말은 창업세대만을 위하는 이기주의적 표현은 아니다. 오히려 다음 세대를 위해 창업세대가 현재 준비할 것이 무엇인지 생각하게 해주는 중요한 말이다.
창업세대는 힘든 창업과정을 거쳐 겨우 자리를 잡았다고 생각하는 순간 의외의 복병을 만날 수 있다. 가장 큰 복병은 창업이념이 흔들리는 문화적 단절현상이다. 창업세대의 가치관, 윤리, 규범이 영속적으로 계승될 수 있도록 대책을 세우는 일은 중소기업 고유의 대표적인 지속가능경영 과제가 될 수 있다.

이 재 관
숭실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