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체된 기업활력을 진작하려면 가족기업의 경제적 기여도를 정당하게 평가하고 경영권 승계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바로잡는 일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주요국의 가족기업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경쟁국에서는 가족기업이 사회적으로 인정받고 경영권의 승계도 정책적으로 지원되고 있지만 우리의 경우 사회적인 편견과 정책적인 차별을 받고 있어 기업가정신과 경영의욕이 위축돼 있다고 지적했다.
상의는 보고서에서 세계적으로 가족기업의 비중은 미국 54.5%, 영국 76%, 호주 75%, 스페인 71%, 한국 68.3%이라고 소개하고 가족경영은 후진적인 경영형태가 아니라 선진국에서도 지배적인 경영형태라고 지적했다. 또 미국의 월마트, 일본의 도요타, 독일의 BMW, 영국의 세인스베리(영국최대 식품회사)와 같이 포춘 500대 기업의 37%를 차지하는 수많은 세계초일류기업들이 가족경영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가족기업의 국가경제적 기여도는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의 경우 독일이 66%, 미국이 30%, 가족기업이 고용하는 근로자의 비중은 독일 75%, 미국 30%로 나타났다. 한국은 상장·코스닥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가족기업의 고용비중은 66.5%였다.
대한상의는 선진국의 경우 가족기업이 축적한 거래처와의 오랜 신뢰관계, 기술력, 주인의식과 리더십, 사회적 책임감 등을 높이 평가해 기업을 상속할 때 다양한 정책지원을 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오히려 중과세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밝혔다.
대한상의는 우리 기업의 창업활동이 60~70년대에 본격화됐던 점을 감안하면 머지않은 시기에 많은 기업의 경영권이 변동될 것으로 전망되지만 중소기업의 78%가 경영승계를 고려한 적 없거나(60%), 구체적인 계획을 갖고 있지 못한(18%) 실정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중소기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